세월호 유족과 대리기사 간의 폭행 사건 당시 현장이 찍힌 근처 빌딩의 CCTV 영상
대리운전기사 폭행 사건에 연루된 세월호 유가족 5명이 19일 경찰에 나와 조사를 받았다.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 김병권 전 위원장과 김형기 전 수석부위원장 등은 이날 오후 4시30분께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출석해 17일 새벽 폭행 사건과 관련한 조사를 받았다.
왼쪽 팔에 깁스를 한 김 전 위원장은 조사에 앞서 취재진들에게 “물의를 일으킨 점, 국민과 유가족께 심려를 많이 끼쳐드려 진심으로 죄송하고 사과드린다. 경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폭행 혐의와 관련한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이가 부러진 김 전 수석부위원장은 애초 나중에 조사를 받을 예정이었지만, 이날 김 전 위원장과 함께 출석했다.
김 전 위원장 등은 17일 새벽 12시40분께 여의도의 한 횟집 건물 앞에서 대리기사 이아무개(52)씨, 행인 김아무개(36), 노아무개(36)씨와 시비 끝에 이들을 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양쪽 주장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대리기사와 행인은 일방적으로 맞았다고 주장하지만, 유가족들은 ‘쌍방 폭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가족대책위 법률 대리인인 박주민 변호사는 “대리기사 이씨가 주장하는 ‘죽을 정도로 두드려 맞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멱살 잡고 밀치는 정도의 가벼운 신체 접촉으로 끝났다. 대리기사는 골목에 서 있고 몸싸움을 심하게 한 건 행인들인데, 가족들이 혼란스러워서 몸싸움 당시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한다”고 했다.
한편 경찰은 폭행 시비에 연루된 행인 2명에 대해서는 면책 대상이 될 수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5월 ‘폭력사건 정당방위 처리지침’을 보강해 쌍방폭행이라고 하더라도 한쪽 당사자가 정당방위를 했거나 정당한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인 경우 면책하도록 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행인 2명은 대리기사가 맞는 것을 막고, 이를 경찰에 신고하려다 세월호 유가족들과 몸싸움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정당행위로 볼 여지가 있다”고 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박 대통령의 강공 선회, 그 내막은? [정치토크 돌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