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6만8천여가구…경기불황탓
서민경제의 주름살이 깊어지면서 연탄 수요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단체인 ‘밥상공동체복지재단·서울연탄은행’이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조사해 21일 발표한 ‘2014년 연탄 사용 가구 조사와 대책’을 보면, 2011년 15만7700여가구로 집계된 연탄 사용 가구는 올해 16만8400여가구로 1만700여가구(6.8%) 늘었다. 연탄 사용 가구는 2004년 18만2100여가구에서 2005년에는 24만9600여가구로 증가하고, 2006년 27만100여가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2008년 19만9800여가구, 2010년 18만300여가구, 2011년 15만7700여가구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올해 조사에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2012·2013년에는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연탄을 쓰는 16만8400여가구 중 6만360가구는 기초생활수급 가구다. 독거노인과 장애인 등 지원이 필요하나 정부 지원 대상에서는 빠져 있는 서민 가구가 5만5199가구, 차상위 가구가 2만1170가구다. 서울연탄은행은 “연탄을 사용하는 가정의 80% 이상이 사회적 약자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경제 위축, 고유가,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저소득층에서 난방비 절감을 위해 상대적으로 값이 싼 연탄을 선택했기 때문에 연탄 수요가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4만7040가구로 가장 많고, 강원이 3만4732가구, 전남이 1만5722가구로 뒤를 이었다. 연탄 한 장은 550~650원에 판매되는데, 정부는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허기복 연탄은행 대표는 “연탄은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사용하는 서민의 연료다. 정부는 가격 인상 방침을 철회하고,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욱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