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태풍 ‘풍웡’의 예상진로
제16호 태풍 ‘풍웡’이 23일 오후 6시께 열대저압부로 약해졌다.
기상청은 이날 “태풍 ‘풍웡’이 오후 6시께 중국 상하이 북동쪽 약 110㎞ 해상에서 열대저압부로 변했다. 애초 24일 오전 3시께 상하이 북동쪽 약 220㎞ 해상에서 열대저압부로 바뀔 것으로 예측했으나 상하이를 통과하면서 세력이 예상보다 일찍 약해졌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태풍이 열대저압부로 변해도 강한 바람과 함께 많은 비가 내릴 것이어서 피해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작 태풍 예상 진로도에는 열대저압부로 바뀐 뒤의 진로에 대해 아무런 표시가 되지 않아 이후 강풍 지역이 어디인지, 풍속은 얼마나 될지에 대해 알 수 없게 돼 있다. 태풍은 최대풍속이 초속 17m 이상일 경우를 지칭하며 초속 17m 이하로 떨어지면 열대저압부로 표시한다. 그러나 초속 15~17m라 해도 아주 강한 바람이어서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다른 나라 기상청의 태풍 예상 진로도는 우리 기상청의 진로도보다 좀더 친절하다. 중국기상청은 23일 오후 4시 현재 우리와 마찬가지로 풍웡이 24일 오전 3시께 열대저압부로 약해지는 것으로 예측했지만, 이후 초속 16m로 바뀐 뒤에도 계속 진행해 오후 3시께 전남 해안 쪽으로 상륙하는 것으로 표시해주고 있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23일 오전 6시께 이미 열대저압부로 약해진 것으로 봤지만, 이후 24일 오전 6시께 전남 여수 근처까지 진출하는 동안의 영향권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홍콩 기상청은 24일 오전 9시께 제주도 북서쪽 해상을 통과해 전남 남해안을 관통하는 것으로 표시하고 있고, 일본 기상청의 경우 24일 오전 6시께도 최대 풍속이 18m로 태풍으로 유지되면서 남해안 쪽으로 상륙하는 것으로 예보하고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열대저압부로 바뀐 뒤에는 진로를 표시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러나 이번 풍웡처럼 열대저압부로 바뀐 뒤에도 영향을 주는 경우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미국의 태풍 ‘풍웡’의 예상진로.
일본의 태풍 ‘풍웡’의 예상진로.
중국의 태풍 ‘풍웡’의 예상진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