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저지 맞서 임시집무실 머물며
7개월간 체불임금 8억원 달해
정상화까진 특채도 무급이라지만
“농성 장기화 대비 포석” 지적 일어
7개월간 체불임금 8억원 달해
정상화까진 특채도 무급이라지만
“농성 장기화 대비 포석” 지적 일어
‘낙하산 이사장’ 논란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7개월 넘게 ‘식물’ 상태에 있는데, 그 중심인물인 박상증(84) 이사장이 측근 2명을 특채한 사실이 29일 확인됐다. 기념사업회 직원들을 압박하기 위한 ‘대체인력’ 투입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기념사업회 이사회의 설명을 들어보면, 박 이사장 등 이사진은 지난 9일 이사회에서 직원 2명 특채 방침을 정했다고 한다. 이사회와 본부장급 직원들이 참여하는 인사위원회는 지난 24일 남아무개(43)씨와 임아무개(33)씨의 채용을 확정했다.
박 이사장은 182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이사장 불법임명 거부 국민대책위원회’가 출근 저지 농성에 들어간 2월17일부터 서울 중구 서소문로 기념사업회 건물이 아니라 안전행정부가 내준 서울 종로구 ‘일제강제동원피해자 지원재단’ 사무실 일부를 임시 집무실로 사용해왔다. 새로 채용된 임씨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 지원재단의 계약직 출신으로 그동안 박 이사장의 업무를 보조해왔다. 증권 분석가 출신인 남씨는 박 이사장이 추천한 인물로 알려졌다.
특채된 이들 역시 기념사업회가 아니라 박 이사장의 임시 집무실로 출근할 예정이다. 이사회 쪽은 특채 직원들도 다른 직원들처럼 ‘정상화’ 전까지는 월급을 받지 않는다고 했다. 이사회 관계자는 “이사회에서도 기존 직원들 월급 지급과 기념사업회 정상화가 우선이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일단 이사장의 업무를 도울 인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특채를 결정했다”고 했다. 하지만 기념사업회 직원들은 특채가 농성 장기화에 대비한 포석이 아니냐고 의심한다. 한 직원은 “수개월째 월급도 지급하지 못한 상황에서 박 이사장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람을 특채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말했다.
진선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안행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3월부터 기념사업회 직원 39명에게 지급되지 않은 임금은 7억9462만원이다. 1인당 평균 2037만원이다. 안행부는 박 이사장에게는 임시 집무실, 보좌 인력, 사무용품, 음료·다과까지 지원하고 있다. 진 의원은 “안행부는 기념사업회의 독립성과 역사성을 지키려는 직원들의 노력은 무시한 채 낙하산 논란을 부른 박 이사장의 편의만을 봐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행부는 “집무실은 기존 사무실을 활용했고, 물품은 안행부 담당 부서의 운영비에서 지원해 별도 예산이 들어가지는 않는다”고 해명했다. 송호균 기자 ukno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