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유전체 연구 사업서 비리 의혹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유전체 연구 사업을 하면서 검사기관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은 업체에 연구용역을 몰아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연구 용역을 집중 수주한 업체에 관련 공무원들이 퇴직 뒤 취업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13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유전체 연구업체 두곳에 전체 유전체 연구 용역 사업의 73%를 몰아줬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1999년부터 유전체 연구사업을 하면서 그동안 민간에 모두 116건, 254억6천만원의 연구를 맡겼다. 이 가운데 특정 업체 두곳이 66건, 186억원의 연구용역을 따냈다. ㅁ업체는 52개 사업에 91억2천만원을, ㄷ업체는 14개에 95억1천만원을 위탁받았다. 유전체 연구사업은 유전정보를 활용해 질병 진단과 치료 기술, 유전체 분석 기술 등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김 의원이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ㄷ업체는 ‘유전자검사기관 평가결과’에서 186개 평가대상 기관 가운데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검사평가원은 유전자검사기관의 업무수행 과정의 적정성, 시설 및 장비의 적합성, 인력의 적정성 등을 평가하는 곳이다. 김 의원은 “ㄷ업체는 지난해 유전자 검사기관 평가를 받아야 함에도 이를 거부해 문제가 된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이 ㅁ업체가 유전체 연구용역을 시작한 2001년부터 이 회사 주식 60주(시가 약 300만원)를 보유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업체 책임연구원 2명은 유전체사업을 총괄해온 질병관리본부 바이오과학정보과와 형질연구팀의 전직 연구원이었다. 김 의원은 “감사원이 나서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이익단체 업자와 뭉쳐 공공부문 일감을 독점하는 문제를 사업별로 철저히 감사하고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조사가 필요한 경우 면밀하게 조사하겠다”고 답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