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사고로 지난해 282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자전거 사고 사망자 숫자는 유럽의 자전거 선진국들에 비해 4~8배 더 많은 것이다.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수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자전거 사고로 숨진 사람은 2009년 337명, 2010년 297명, 2011년 275명, 2012년 289명, 2013년 282명이었다. 2011년 한국의 자전거 사고 사망자 숫자는 인구 10만명당 0.5명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0.4명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단순 사망자 숫자가 아니라, 실제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 숫자를 고려한 사망자 숫자는 유럽의 자전거 선진국들의 4~8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한국의 자전거 수송분담률은 2.16%에 불과했고, 2006년 유럽 자전거 선진국들의 수송분담률은 독일 10%, 덴마크 19%, 네덜란드 27%였다. 또 10만명당 자전거 사고 사망자 숫자는 한국과 독일, 덴마크가 0.5명, 네덜란드가 한국의 2배인 0.9명이었다. 따라서 수송분담률과 10만명당 사망자 숫자를 모두 고려한 한국의 사망자 숫자는 독일의 4.6배, 덴마크의 8.8배, 네덜란드의 6.9배에 이른다.
한국의 전체 자전거 사고 건수는 2009년 1만2532건, 2010년 1만1259건, 2011년 1만2121건, 2012년 1만2908건, 2013년 1만3316건으로 매년 1만건 이상이다.
2013년에 자전거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 광역 시·도는 서울로 3250건이 일어나 26명이 죽고 3410명이 다쳤다. 그 다음은 경기로 2309건이 일어나 50명이 죽고 2326명이 다쳐 사망자 숫자로는 가장 많았다. 대구는 1433건이 일어나 20명이 죽고 1472명이 다쳤다. 경북은 1033건이 일어나 29명이 죽고 1032명이 다쳤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