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를 올려다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한국기업데이터 상임감사 장병화씨
최 부총리 의원시절에 보좌관 지내
최 부총리 의원시절에 보좌관 지내
공공기관으로 출발했다가 민영화 된 기술신용평가기관 상임감사에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매제이자 보좌관 출신 인사가 선임된 것이 뒤늦게 알려져 ‘낙하산’ 논란이 일고 있다.
12일 한국기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9월 장병화씨가 한국기업데이터 상임감사로 임명됐다. 장씨는 최경환 부총리의 매제이고, 최 부총리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던 지난 6월까지 보좌관을 지냈다. 금융 관련 경력은 없다.
한국기업데이터는 중소기업의 기술 신용평가를 위해 2005년 설립됐다. 2012년 공공기관에서 벗어나 민영화 됐지만, 여전히 신용보증기금이 15%를 지닌 최대주주로 있고,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은행, 한국산업은행 등 국책 금융기관과 시중 은행들이 8.96%씩 지분을 나눠가진 구조다. 사실상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않은 지분 구조를 지닌 셈이다.
업계는 장 상임감사의 선임에도 정부가 관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사 사정에 밝은 한 인사에 따르면 “사실상 청와대에서 낙점을 한 뒤 통보하면, 정부 입김에서 자유롭지 않은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임원이 선임된다. 장 감사 역시 이런 과정을 통해서 선임 됐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의 상임감사는 1명이고, 인센티브를 포함해 연 보수 2억원 정도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3대 기술신용평가기관 가운데 하나인 한국기업데이터는 사장이나 임원선출과 관련해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민영화로 공모 등 투명성을 담보한 임원 임명절차가 사라지고, 최대 주주인 신용보증기금 출신이 임원으로 오거나, 전문성이 검증되지 않은 인사가 낙하산으로 오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이 회사 노조 관계자는 “임원추천위원회 등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임원 선임 절차가 갖춰지지 않으면 계속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 상임감사의 임명 소식에 새정치민주연합도 논평을 내어, “금융관련 경험이 일천한데도 임원이 된 것은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가족 사랑’이 발휘된 것”이라며 “민영기업 낙하산’을 즉시 회수하고, 국민들에게 사과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