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2014년 사회 짤방 10선, 교황만이 위안이었던 한국 사회

등록 2014-12-31 18:19수정 2014-12-31 19:37

디지털한겨레가 선정한 2014 ‘화제의 사회 짤방’ 10선
2014년 한국 사회의 키워드는 ‘무력감’이었습니다. 눈앞에서 아이들이 수몰되는 모습을 목도하면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참사 이후 참사를 대하는 한국 사회는 더 끔찍했습니다. 세월호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세상은 점점 논리가 사라지고 폭력과 배제의 목소리만 힘을 얻어가고 있습니다. 그런 사회를 한눈에 ‘짤방’으로 정리해봤습니다.

[01. 당신의 ‘열정 페이’는 얼마인가요?]

지난 4월 ‘열정 페이 계산법’이라는 제목의 짤방이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와 화제가 됐습니다. 열정 페이 계산법이란 일부 직종에서 사회적인 상식에 반하는 노동 착취를 정당화하기 위해 상사와 고용주들이 만든 이상한 임금 계산법입니다. 당연히 근로기준법에 위반됩니다.

 

[02. 홍명보의 아이들]

5월8일 ‘2014 브라질 월드컵’ 최종 엔트리가 발표된 뒤 누리꾼들이 선수 구성에 대해 각종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엔트으~리’라는 신조어도 탄생했지요. 남성 잡지 <맥심> 표지는 애초 배우 김보성씨였는데, 누리꾼들은 홍명보 감독의 얼굴을 합성했습니다. ‘내 새끼들 데리고 사상 첫 원정 8강 간다! 으리!’라고 적혀 있어 웃음을 유발했습니다.

[03. 노인과 저격수]

6월23일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 마을에서 육군 저격수가 인근 야산에서 대치중인 무장 탈영병 임아무개 병장을 조준하는 사진이 촬영됐습니다. 긴장감 뒤로 여유로운 듯 앉아 있는 할머니는 아이러니하기까지 합니다. 저격수가 탈영병을 조준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옆에 있는 저 할머니를 지키기 위해서 아닌가요. 그래서 이 사진이 보도된 뒤 누리꾼들 사이에선 “한국 사회의 현재를 자명하게 보여주는 사진”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04. 김정은도 좋아하는 허니버터칩?]

허니버터칩은 감자칩 시장에서 오리온과 농심에 밀려 고전을 하던 해태제과가 8월초 내 놓은 스낵입니다. SNS에서 입소문을 타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이 과자는 품귀현상을 빚었고 중고카페에선 웃돈을 얹어 되팔겠다는 사람도 나왔는데요. 손에 넣기가 ‘하늘에 별따기보다 어렵다’ 보니 꿀·감자 등을 구입해 ‘만들어 먹는’ 소비자가 나올 정도입니다.

[05. 교황과 노랑 리본]

지난 8월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여러 차례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고 세월호 사건을 추모하는 노랑 리본을 가슴에 달았습니다. 귀국 길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추모 행동이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느냐”라는 한 기자의 질문에 교황은 “인간적 고통 앞에서 중립을 지킬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06. 유민아빠와 이효리]

8월21일 가수 이효리(@frog799)씨가 트위터에 “울지 말아요 아빠”라는 메시지와 함께 그림 한 장을 올렸습니다. 그림에는 한 남성을 꼭 끌어안고 평온한 표정으로 눈을 감고 있는 단발머리 소녀가 그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은 세월호 참사 희생자인 단원고 고 김유민양과 아버지 김영오씨를 그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7. 무릎 꿇었던 창현아빠]

10월29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앞에서 죄인처럼 무릎을 꿇고 빌던 사람은 세월호 유가족인 ‘창현아빠’ 이남석씨였습니다. 그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참 미웠지만 내가 힘없는 아빠니까, 자식 죽은 이유도 밝히지 못하는 무능한 아빠니까 무릎을 꿇었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08. 출입금지]

12월5일 서울의 신사동에 위치한 한 레스토랑의 출입금지 공고문이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돼 화제가 됐습니다. 사진을 보면 ‘출입금지. 개와 고양이 그리고 OOO아파트 주민-미친주방장’이라는 메모가 적혔습니다. 이 문구는 서울 압구정동 신현대 아파트에서 벌어진 ‘경비원 분신 및 전원 해고 통보’ 사건을 비판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9. 쌍용차 해고 노동자의 여섯 번째 겨울]

파업으로 극심한 노사대립을 거친 ‘쌍용차’는 최종적으로 165명이 정리해고됐습니다. 이 가운데 153명이 2010년 11월11일 해고 무효소송을 냈습니다. 2월7일 2심에서 서울고등법원은 “정리해고 당시 긴박한 경영상 필요가 있었다거나 회사가 해고 회피 노력을 충분히 다했다고 볼 수 없다”며 ‘해고 무효’로 판결했습니다. 하지만 11월13일 대법원은 원고들이 승소했던 원심을 파기해 “정리해고는 유효하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12월13일 해고 노동자인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김정욱 사무국장과 이창근 정책기획실장은 쌍용차 평택공장 안에 있는 70m 높이 굴뚝에 올라 벼랑 끝 선택으로 고공농성에 돌입했습니다.

  

[10. “이 비행기 못 띄워, 내려!”]

12월5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발 대한항공 비행기에서 벌어진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은 한국 사회의 후진적 재벌 문화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여줬습니다. 누리꾼들이 재치 있게 표현한 패러디물이 연일 쏟아져 눈길을 끌었습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