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와 돈거래 여부 등 조사
검찰, 이번주 변호사들 소환키로
검찰, 이번주 변호사들 소환키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소속 변호사들을 주요 대상으로 진행되는 변호사법 위반 혐의 수사에서 관련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이 진행되는 등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 배종혁)는 26일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근무했던 김아무개 변호사한테 사건을 소개한 혐의와 관련해 노아무개씨 등 전 조사관 2명의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김 변호사 등의 계좌추적 과정에서 돈 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거래의 성격을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이번주부터 변호사들을 소환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지난주 출석을 연기한 민변 소속 이명춘 변호사에게 28일 출석하라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사위 조사국장을 지낸 이 변호사는 ‘삼척 간첩단 사건’ 피해자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을 수임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앞으로 2~3주에 걸쳐 변호사들을 잇따라 소환조사할 방침이다.
그러나 일부 언론이 수사 대상으로 지목한 변호사들은 변호사법에 저촉될 행위를 하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던 백승헌 전 민변 회장은 이날 낸 자료에서 “현재 수임한 사건은 광주·청주교도소 등에 수감돼 가혹행위를 당한 피해자들이 낸 소송으로, 의문사위가 다룬 대전교도소 사건과 전혀 다르다”고 밝혔다. 그는 “착수금이나 성공보수 등 어떤 경제적 이득을 취한 바 없다”고 했다.
같은 위원회에서 상임위원으로 활동한 김희수 변호사도 “의문사위에서 다룬 사안은 장준하 선생의 사인에 대한 것이다. 변호인단에 내 이름이 오른 사건은 장 선생이 긴급조치에 의해 처벌받은 데 대한 형사 재심 및 손해배상 소송”이라고 밝혔다. 이어 “소속 법무법인이 변호인단에 일괄적으로 이름을 올렸을 뿐이고, 사건에 전혀 관여하지 않아 보수를 받은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두 변호사는 검찰이 부정확한 혐의 내용을 흘리며 민변에 대한 악의적 공격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