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들이 화재 진압 때 입는 특수방화복에 이어 평상 근무 때 입는 기동복, 근무복 등 6만여 점도 품질 검사 없이 납품된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장비 구매시스템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안전처는 품질 검사를 받지 않고 납품한 방화복 업체 2곳과 일반 근무복 업체 12곳을 추가로 수사기관에 고발했다고 6일 밝혔다. 방화복 등 부정 납품과 관련해 안전처가 고발한 업체는 모두 16곳이다. 앞서 안전처는 지난달 6일 정해진 검사를 받지 않은 채 특수방화복을 납품한 업체 가운데 납품 물량이 많은 2개 업체를 고발한 바 있다.
이제까지 검사를 받지 않고 소방관서에 납품돼 적발된 제품은 특수방화복 5000여 벌과 기동복, 근무복, 방한복, 점퍼 등 일반 의복 총 6만여 점에 이른다. 특수방화복과 일반 의복 모두 명시된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검사를 받아 납품하도록 돼 있다고 안전처는 설명했다.
이번 조사과정에서 소방관들이 입는 일상 근무복을 검사 없이 납품한 것으로 밝혀진 12개 업체는 최근 2년 동안 모두 250억원어치 31만 여점을 조달청에 납품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3년 6월 소방피복 검사제도가 도입된 뒤 소방관들이 입는 일상 의복 가운데 20%가량이 검사를 받지 않고 납품된 셈이다.
안전처는 품질 검사 의무를 어긴 16개 업체에 대해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인정 취소 및 조달청을 통한 대금환수, 입찰참가 제한 등에 행정조처에 나섰다. 또 안전처는 이번 부정 납품을 계기로 조달청 및 물품관리 민간 전문가 등을 참여시킨 ‘소방장비 구매·관리제도 개선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했고, 소방장비 구매시스템 전반에 걸쳐 감사원 감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앞으로 특수방화복은 현지 출장 검사를 폐지하고,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전량 입고해 검사한 뒤 각 소방관서에 배송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이밖에 합격표시 날인과 함께 제품별 고유번호를 부착하기로 했다.
정태우 기자 windage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