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착공 목표로 추진 중인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사업에 대해 경기도 고양시민들이 ‘도시를 양분하고 국사봉 등 녹지축을 훼손한다’며 사업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와 고양환경운동연합 등 37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반대 고양시 공동대책위원회’는 18일 고양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문산 고속도로는 고양시에는 필요하지 않은 도로다. 고양시민들은 거의 이용할 수 없거나, 이용하더라도 불편을 감수하고 과도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무엇보다 주민 20만명이 이용하는 국사봉 녹지축을 훼손하고, 성석동 등 지역 주민의 삶을 단절시키며, 문화재인 서삼릉과의 이격거리도 75m에 불과하다”며 국사봉 구간 지하화 등을 요구했다.
서울~문산 고속도로는 사업비 2조2941억원(민간투자 1조원)을 들여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 방화대교 북단~파주시 문산읍까지 35.6㎞를 잇는 사업으로, 이 가운데 21.6㎞(62%)가 고양시 구간이다. 애초 2017년 개통하기로 했지만 방화대교 진입 문제와 고양·파주 통과 노선을 둘러싼 갈등으로 재설계를 하느라 공사가 지연돼 2020년 개통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12월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끝나 현재 실시계획 승인을 위한 행정기관 협의가 진행 중이다.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 협의 때 “국사봉(성라공원)은 고양시 주민의 휴식 및 자연체험 장소로 활용되고 있어 공원기능 유지와 녹지축 훼손 최소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휴게소 입지를 국사봉 지역에서 제외하는 방안과 국사봉 통과 노선의 터널화 방안 등을 강구하라”고 조건부 승인한 바 있다.
고양시도 국사봉 터널화, 국사봉·강매산·견달산 녹지축 훼손 최소화 등 추가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고양시는 이달 안에 △권율대로 정상적 통행 보장 △녹지축 훼손 및 도시 단절 최소화 △서정마을(행신동) 인접 고속도로 이격거리 최대화 등 7가지 요구사항이 담긴 의견서를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사업자 쪽은 터널공사의 기술적인 문제점과 사업비 증가, 국사봉 휴게소 운용 계획 등의 이유로 난색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