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을 맞아 일제가 덕수궁 내부를 볼 수 없게 하려고 지었던 국세청 남대문 별관(아래쪽 가운데 흰색건물)이 87년 만에 철거되고 그 자리에 광장이 조성된다고 6일 서울시가 밝혔다. 연합뉴스
광복 70돌을 맞아 근현대사의 상징적 장소가 시민의 공간으로 대거 탈바꿈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을 세종문화회관 쪽에 붙여 확장하는 방안(<한겨레> 2014년 10월1일치 12면)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6일 발표한 ‘광복 70주년 기념사업 계획’을 보면, 우선 일제 잔재로 꼽혀온 서울지방국세청 남대문 별관이 이달부터 철거돼 광장으로 조성된다. 1937년 일제가 덕수궁 기운을 끊겠다며 덕수궁 바로 옆에 지은 건물로, 기둥 일부만 ‘기념벽’으로 남긴다. 올해 서울시가 정부가 사용 중인 서울시 재산과 맞교환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었다. “광복 70돌의 의미를 담은 광장으로 시민에게 돌려드린다”(서해성 기념사업 예술감독)는 게 시의 방침이다.
국세청 별관 터나 남산공원 분수대에 ‘위안부 피해자 평화조형물’도 세워진다. 서대문독립공원도 주요 후보지다. 이들 세 곳(서대문형무소~국세청 별관 터~남산)을 잇는 ‘인권 투어 코스’도 만들 예정이다.
도봉구 도봉동에 위치한 대전차 방호시설은 예술창작시설로 개조돼 시민에게 개방된다. 전쟁과 분단의 상징물이었다. 서울시와 도봉구가 올 8월 착공해, 내년 6월 생태문화·예술창작·체험, 역사 교육터로 조성한다. 시민모금을 통해 ‘1000만 시민 통일염원 독립 기념조형물’도 용산가족공원에 건립할 계획이다. 시민들이 만든 대형 태극기로 청계천을 덮는 등의 시민참여형 행사, 전시·공연 등이 8월까지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 시민청, 용산가족공원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개최된다. 기념사업 시민위원인 조광 고려대 명예교수는 “지금까지 광복사업은 국가가 중심이 되어 강조한 박제화된 광복이었다. 시민이 중심이 되는 광복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시는 경축식, 전야제 등 정부가 주최하는 공식행사와 중복을 피하기 위해 협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앞서, 정부가 주관한 ‘광복 70년 기념사업 공모’에 광화문광장 확장안을 제출했으나 지난달 탈락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보행자 중심 도시를 만들자는 취지여서 의지를 갖고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