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정문. 한겨레 자료 사진
강남 3구 쏠림 현상 해마다 심화
구로구 일반고 합격자 1명도 없어
구로구 일반고 합격자 1명도 없어
서울대학교가 지역 간 교육 환경의 불균형을 완화하려고 시행하는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 쏠림 현상이 해마다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기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교육부한테서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역균형선발전형을 통해 서울대에 입학한 서울 일반고 출신 학생 가운데 강남 3구 출신 학생의 비율은 2013년 21.7%에서 2015년 30.7%로 2년새 10%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지역균형선발전형은 학업 여건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고등학생한테 기회를 주자는 취지로 2005년 도입됐다. 그런데도 25개 자치구 가운데 ‘교육 특구’로 불리는 3개 자치구에 오히려 기회가 쏠린 것이다.
이를테면 지난해 서초구와 송파구에서는 각각 12명과 15명의 일반고 학생이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서울대에 입학했다. 반면 금천구의 일반고에서는 1명만이 해당 전형으로 입학했다. 서초구와 학생 규모가 비슷한 구로구의 일반고에는 지역균형선발전형 합격자가 1명도 없었다. 서울 지역 고등학교의 17.3%가 강남 3구에 자리잡은 점을 고려하더라도 ‘소외된 지역 인재한테 기회를 준다’는 지역균형선발전형의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를 두고 유 의원은 “서울대가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높이는 등 전형방식을 바꿔 강남 3구 출신 학생들한테 유리해진 것”이라고 풀이했다. 원래 지역균형선발전형은 학교 내신성적이 좋은 학생을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뽑는 까닭에 지역의 일반고 학생한테 유리하다. 하지만 지난해 입시에서 서울대는 신입생의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국·영·수·사탐·과탐 등 ‘2개 영역 2등급 이내’에서 ‘3개 영역 2등급 이내’로 높였다. 내신성적만으로 평가하던 1단계 서류전형도 학생부·자기소개서 등을 반영한 종합평가로 바꿨다. 유 의원은 “지역균형선발제도는 지역 간 격차를 줄이려는 전형인 만큼 특정 지역에 쏠리지 않도록 운영해야 한다”고 짚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