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4일 저녁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민중총궐기 대회 참가자들이 차벽을 설치하고 물대포를 쏘며 행진을 막는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50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의 연대체인 시민단체연대회의(연대회의)와 종교계, 정치권이 5일로 예정된 ‘백남기 농민 쾌유기원과 민주회복 민생살리기 범국민대회’를 평화적으로 진행하겠다는 뜻을 다시 한번 천명했다.
2일 연대회의와 종교계,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은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12월5일 범국민대회 개최보장과 평화적 진행을 위한 시민사회·종교계·국회의원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평화적 집회와 행진을 하려는 국민들의 의지를 꺾지말고 집회와 행진을 보장해달라”고 요청했다. 전날 시민단체연대회의는 ‘시민단체연석회의’라는 이름으로 서울지방경찰청에 5일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대학로까지 행진하는 5000명 규모의 집회 및 행진 신고를 냈다. 염형철 연대회의 운영위원장(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생명평화의 일꾼 백남기 농민의 쾌유와 국가폭력 규탄 범국민 대책위원회’의 집회신청조차 경찰이 금지하는 상황에서 시민단체가 평화적으로 집회를 추진해야 할 필요를 느껴 어제 집회신청을 냈고 경찰과 원만하게 대화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50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연대회의는 1차 민중총궐기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이날 참가자들은 평화로운 집회 진행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의 박영락 목사는 “시민들에게서 순간적으로 터져나오는 분노는 종교인들이 추스리겠다. 공권력의 폭력 역시 시민을 향하지 않도록 종교인들이 대신 맞고 외치면서 참여하겠다”고 했다. 권태선 연대회의 공동대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도 “평화집회가 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 공권력이든 시위 참여자든 평화집회를 거스르는 움직임을 막아내겠다”고 했다. 이학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의원총회 결의를 거쳐 우리 의원들도 공권력에 의해 국민의 안위가 침해받지 않도록 시민사회단체, 종교계와 함께 거리에서 평화지킴이가 되겠다”고 말했다.
이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그동안 민중총궐기 대회의 평화로운 개최를 주장해 온 노동계와 농민들도 감사의 뜻을 전했다. 최종진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은 “12월5일 평화로운 집회를 위해 노력해주시는 데 대해 고맙다는 인사를 드린다. 국민들의 요구가 잘 전달되는 집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관련영상 : 반헌법적 막말 퍼레이드, 범국민대회 집회시위, 안대희 전 대법관 총선 출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