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환자·실험실서 방선균 관찰”
사료에서 증식해 환기구로 퍼진 듯
동물실험 이후 감염확진 발표예정
사료에서 증식해 환기구로 퍼진 듯
동물실험 이후 감염확진 발표예정
지난 10월 건국대 동물생명과학대학에서 발생한 ‘집단 폐렴’의 원인은 실험에 쓰인 사료에서 증식한 세균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8일 “건국대에서 집단 폐렴이 생긴 실험실의 사료와 실험실 환경, 환자의 검체 등에서 ‘방선균’으로 추정되는 세균이 관찰됐다”며 “이 세균이 이번 집단 폐렴의 원인균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방선균은 흙이나 건초 등에서 발견되는 세균이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다. 또 기존에 알려진 방선균에 의한 호흡기질환은 알레르기 면역반응이지만 이번 사례는 감염과 염증이어서 차이가 난다.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방선균에 의한 폐렴인지, 곰팡이 등 다른 균들도 같이 감염된 것인지 실험용 쥐 등 동물실험을 통해 명확하게 규명하려 한다”고 말했다. 환자의 검체 등에서 방선균이라는 세균이 관찰됐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다른 감염 형태를 보여 현재는 확진이 아닌 추정 단계라는 것이다. 방선균에 의한 감염 여부는 3개월가량 걸리는 동물실험을 통해 나올 예정이다.
또 질병관리본부는 세균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기 시스템을 통해 전파된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가스 확산 실험을 한 결과, 해당 건물 5층에서 나온 가스가 4~7층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생명과학대학 건물의 재사용과 관련해 질병관리본부는 “안전성을 먼저 확보한 뒤 정상화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학 동물생명과학대학에서는 지난 10월19일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 환자 55명이 발생했다. 환자는 모두 동물생명과학대 건물 실험실 근무자인데, 전체 실험실 근무자 254명의 21.7%가 폐렴에 걸렸다. 다행히 모두 가벼운 증상만 보여 지난 11월 초 모두 퇴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