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하철 역이름을 판매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최고가 입찰 방식으로 선정한 기업·기관 이름을 기존 역명에 병기하는 식이다. 내년에 지하철 1∼4호선과 5∼8호선에서 각각 5개씩 10개 역을 선정해 시범운영할 방침이다.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에 자체 역명심의위원회를 두고 공공성을 훼손하거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기업·기관은 배제한다. 기준에 맞는 기관 중에 최고가 입찰하는 곳을 선정하는 경쟁입찰 방식이다. 역에서 500m 이내 있는 기관과 기업이 대상이지만 마땅한 곳이 없으면 1㎞ 이내로 확대할 수 있다. 세부운영 지침은 서울시와 운영기관이 협의해 결정한다.
1개역 1개 병기, 1회 3년 계약이 원칙이며 출입구역 명판과 승강장역 명판, 노선도, 안내방송 등에 반영한다. 이미 병기된 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현재 서울 지하철 307개 역 가운데 61개 역(19.9%)에 대학과 구청 이름 등이 병기돼있다.
코레일과 부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대구지하철공사 등 지하철이 운영되는 다른 지역에서는 모두 병기 역명을 유상 판매한다. 부산은 1개역에 2개 명칭을 병기하며 1개역당 연 평균 5209만원을 번다. 코레일은 58개 역에 1개역 당 연 평균 2100만원에 판매하며 인천과 대구는 각각 18개역과 10개역에 1594만원, 2173만원을 받고 있다. 대전도 2019년 2호선 개통시 병기 역명을 유상판매할 계획이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