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다발 집회 등 활동 보폭 넓히기로
맹추위 속에서도 비닐 한 장으로 칼바람을 견디며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곁을 지켜온 청년들이 ‘소녀상 지킴이 활동 시즌 2’에 나선다. 전국 각지에 있는 소녀상을 중심으로 시민들을 모으고, 정치권과 정부에 ‘12·28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 목소리를 전달하는 등 활동 폭을 넓혀가기로 했다.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대학생 대책위원회’(대책위)는 28일 “소녀상을 지키는 데서 더 나아가 한일 합의 전면 무효를 위해 전국적, 국민적 의지와 행동을 모아가는 활동을 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수연 대책위 상황실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소녀상으로 시민들의 응원이 모여드는 상황에서 우리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시민들의 여론을 모아 한일 합의 폐기 운동을 펼쳐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활동 방식은 바꿨지만 소녀상 지킴이들의 ‘본부’는 여전히 소녀상 곁이다. 이들은 소녀상과 추모비가 있는 전국 39개 지역의 청년들이 각 지역의 소녀상 지킴이로 참여하는 ‘소녀상 지킴이 네트워크’를 꾸려 서로의 상황을 공유하며 한일 합의 폐기를 위한 여론을 만들어가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녀상을 방문한 시민들에게 집 앞에 내걸 수 있는 작은 펼침막과 스티커 등을 나눠준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특히 오는 3·1절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요구하는 전국 동시다발 집회와 행진도 계획하고 있다.
정치권과 정부에 대한 압박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정 실장은 “설을 전후해 각 정당 대표들을 만나 지난 한일 합의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고, 무효화를 위한 적극적인 행동에 동참할 것을 촉구할 것”이라며 “특히 12·28 합의에 책임이 있는 외교부와 외교부 장관에 대한 규탄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