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형 사회주택 120실 대상
시세의 50% 수준으로 우선 공급
시세의 50% 수준으로 우선 공급
주거빈곤 청년에게 ‘반값 월세’ 주택이 올해부터 공급된다. 서울시의 애초 구상(<한겨레> 2015년 7월16일치 10면)에서 최근 정쟁 대상으로까지 부각된 청년세대에 대한 지원을 한층 강화한 결과다.
서울시는 낡은 고시원, 여관·모텔, 빈 사무실 등을 셰어하우스(공유주택)나 원룸형 주택으로 리모델링해 주거 약자에게 최장 10년 동안 주변 시세의 80% 이하로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입주 물량의 30%(올해는 120실)는 청년 주거빈곤가구에 시세 대비 50% 수준의 ‘반값 월세’로 우선 공급한다. 시는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을 올해 총 400실 공급하고, 내년부터 2000실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은 주택협동조합·사회적기업·비영리법인이 사업자가 돼 지은 지 20년 이상 된 건물을 매입 또는 임대해 리모델링하고, 에스에이치(SH)공사에서 입주자를 모집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때 시는 리모델링 비용의 50%(1억5000만원 한도)를 지원하고, 사업자는 서울시 사회투자기금을 통해 사업비의 90%까지 5년 만기 저리(연 2%)로 융자받을 수 있다.
이런 지원 배경엔 열악한 도시 주거의 상징으로 떠오른 고시원 등을 ‘살 만한 공동체 공간’으로 재생하겠다는 취지도 담겼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