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학-기관·단체 531곳 연계
한해 4천개 강좌…1만2천명 수강
‘우리동네 학습장’도 1천곳으로
한해 4천개 강좌…1만2천명 수강
‘우리동네 학습장’도 1천곳으로
“배움이 곧 일자리고, 배움이야말로 진정한 복지입니다. 누구나, 어디에서나, 언제든지 배울 수 있는 평생학습의 일상화와 민주화를 서울이 시작하겠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3일 시청사에서 네트워크형 시민대학인 ‘서울자유시민대학’ 설립 등이 담긴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2019년까지 4년간 총 870억원을 투입해 성·연령·계층·문화·지역에 차별받지 않는 ‘성인 공교육 시대’를 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현재 17곳인 서울시민대학을 본부(1곳)-분교(5곳)-대학·기관·단체(525곳) 등 531곳의 네트워크를 갖춘 서울자유시민대학으로 확대 개편한다. 이곳에서 한 해 4000여개 강좌를 열어 1만2000여명이 수강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 2019년까지 마을공동체,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등 10개 분야의 시민정책가 1만명을 육성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 시장은 “서울시민의 시민력을 높이겠다”고도 말했다. ‘시민력’은 일본의 싱크탱크들이 잃어버린 10년을 되찾기 위해 일본인이 가진 정신적·기술적 지식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자 만든 개념이다. 시는 ‘시민력 기준 마련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시민과 함께 시민력의 기준을 만들고 지표에 의거해 시민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온·오프라인 학습지원체계도 강화한다. 도서관·자치회관·복지관 등 시민과 가까운 공공시설을 평생학습공간으로 활용하는 ‘우리동네 학습장’을 2019년까지 1000곳으로 늘린다. 금천구 옛 한울중학교를 리모델링해 내년에 ‘모두의 학교’로 문을 연다. 모든 세대가 함께 배우고 소통하는 서울형 평생학습 혁신모델이다. 온라인에서는 서울시평생학습포털을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시민이 학습콘텐츠의 생산자이자 소비자가 되는 집단지성 플랫폼으로 개편한다.
이를 통해 시는 평생교육사·보조강사·학습코디네이터 등 다양한 학습형 일자리 3430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