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청년과 비교해 5%p 많아
가정형편·친구관계·언어 탓
정부, 맞춤형 지원대책 심의
유치원 늘리고 편입학은 쉽게
이중언어 DB 구축 취업지원도
가정형편·친구관계·언어 탓
정부, 맞춤형 지원대책 심의
유치원 늘리고 편입학은 쉽게
이중언어 DB 구축 취업지원도
다문화가족의 청년층(15~24살) 자녀 5명 중 1명은 학교를 다니거나 일을 하지 않는 ‘니트’(NEET) 상태에 처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의 자녀수가 최근 10년 사이 8배 가량 늘어났지만 한국사회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다문화 유치원을 현재보다 두배로 늘리고 학교 적응을 돕는 예비학교를 늘리는 등 다문화가족 정책 방향을 결혼이민자 정착 지원에서 자녀 지원으로 옮겨가기로 했다.
9일 정부는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12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다문화가족 자녀지원 종합대책’을 심의했다. 정부는 “2006년 4월 처음 다문화가족 사회통합지원대책을 마련한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인 만큼 앞으로는 성장주기별 자녀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다문화가족 자녀 규모는 지난 10년 사이에 크게 늘었다. 만 18살 이하 다문화가족 자녀 수는 2006년 2만5000여명에서 지난해엔 20만8천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초·중·고교에 다니는 학생은 지난해 기준 8만2536명으로, 전체 학생의 1.35%를 차지했다. 초등학생 중 다문화 학생 비율은 처음으로 2%를 넘어섰다.
이런 다문화 학생의 학업 중단률은 1.01%(2014년 기준)로, 전체 학생(0.83%)에 견줘 높은 수준이다. 여성가족부가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가정형편이나 친구·선생님 관계, 한국어 문제 등이 학업중단 사유로 꼽혔다. 또 가족형태를 보면 재혼가족 비율이 높아서 가족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클 것이라고 여가부는 설명했다.
특히 15~24살 다문화 자녀 중 20.3%(2012년 기준)는 학업이나 취업, 직업훈련 등을 하지 않는 니트 상태였다. 외국에서 자랐으나 부모 재혼 등을 계기로 한국에 온 ‘중도입국 자녀’로 한정해서 보면, 니트 비율은 32.9%로 올라간다. 201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15~24살 전체 청년 중 니트 비율은 14.5% 정도다.
정부는 유치원부터 취업까지 성장주기별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우선 영·유아기 지원을 위해 다문화 유치원을 지난해 30곳에서 올해 6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지난해 시범운영된 다문화 유치원은 다문화 자녀에게 한국어 등을 추가로 가르쳐준다. 또 학령기 자녀를 위한 ‘多(다)재다능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올해부터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81곳에서 심리상담과 진로교육 등을 받을 수 있다. 중도입국 자녀의 경우,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각 시·도 교육청으로 입국 정보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학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학력증빙이 곤란한 경우에는 편·입학 절차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청년기 다문화 자녀에 대해선 군 입대 때 적응을 돕기 위해 군 병영생활규정을 보완하고 군 부대개방 행사를 여는 등 여건을 조성해나가기로 했다. 이중언어 인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다문화 자녀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획도 포함됐다.
황보연 전정윤 기자 whynot@hani.co.kr
다문화가족 15~24살 자녀 활동별 현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