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김치에서 납 성분과 기생충 알이 검출돼 중국산 수입식품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되자 23일 오후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의 한 음식점이 ‘직접 만든 김치만 제공한다’는 안내문을 내붙였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co.kr
‘중국산 김치 파동’ 수입업체·식당가 표정
중국산 김치에서 납에 이어 기생충 알이 발견된 뒤 식당가와 중국산 김치 수입업체에 비상등이 켜졌다.
식당가에는 ‘국산김치만 사용한다’는 안내문을 내붙이며, 중국 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포를 달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문제가 안 된 중국 김치의 수입업체에는 오히려 주문 상담이 폭주하는 등 중국 김치 수요는 여전했다.
‘국산 김치’ 안내문 붙여도 손님 40% 뚝 문제 안된 수입업체엔 주문상담 전화 몰려
일부 수입업체엔 주문문의 더 늘어=식품의약품안전청이 중국산 김치의 통관을 보류한 뒤 김치 수입업체들은 하루빨리 파장이 가라앉기를 숨죽여 기다리고 있다.
중국산 김치 수입업체 ㅎ사의 전아무개 이사는 “식약청 발표에 우리 회사 이름이 포함돼 있지 않아 김치를 살 수 있냐는 문의 전화가 수십통씩 걸려오고 있지만 통관보류 조처 때문에 손놓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김치는 오랜 시간 통관에 묶여 있으면 익거나 시어 버리는데 업체들이 받지 않겠다고 나올까봐 걱정”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러나 그는 “중국산 김치를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저렴한 가격 때문이기 때문에 중국산 김치 수요는 여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의 한 수입김치 도매업체의 이아무개 사장은 “통관 보류 조처로 현재 모든 거래가 올스톱 상태”라면서도 짐짓 느긋했다. 그는 “고시원이나 미니텔 등에선 서비스로 김치를 내놓는데 그런 곳에서 비싼 국산 김치 내놓기가 쉽겠느냐”며 “아예 이번 조처로 제대로 된 곳이 어디인지 가려졌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식당가는 직격탄=‘조사 대상 식당 88.5%가 중국산 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서초구 일대 식당가는 ‘국산 김치만 사용합니다’라는 안내문이 곳곳에 눈에 띄었지만 손님들의 발길은 부쩍 줄어 한산했다. 주말이면 가족 나들이 손님으로 발디딜 틈 없이 꽉 차던 100여석 규모의 양재동의 한 식당은 23일 절반도 차지 않았다. “중국산 납 김치 보도 뒤 손님이 30~40%나 떨어졌어요. 거기에 기생충 알이라니…. 이 동네에선 그래도 장사가 좀 되는 축인 우리가 이 정도면, 다른 곳은 파리 날리고 있기 십상이죠.” 이 식당 주인 김아무개씨는 “가뜩이나 배추 값이 올라 김치 담그기도 힘든데 손님들이 ‘이거 중국산 아니냐’고 물을 때마다 속상해 죽겠다”고 하소연했다. 서초동 법원 앞 한 한식당의 송아무개 사장도 “직접 김치를 담그던 식당들마저 덩달아 매도돼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산 김치를 쓰던 가게들까지 직접 김치를 담그겠다고 나서니 배추 한 포기에 7000원까지 껑충 뛰었다”며 “매일 상에 올리는 김치 양을 줄일 수도 없고 아주 난감하다”고 덧붙였다. 서민이용 ‘가격파괴’ 식당들 다른 진로 모색=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내세우는 가격파괴 삼겹살 체인점에도 비상이 걸렸다. ㄷ숯가마 삼겹살집의 한 종업원은 “아예 김치에는 손도 안 대는 손님도 제법 된다”며 “평소보다 김치 소비량이 3분의 1 정도로 줄었다”고 말했다. 본사에서 중국산 김치를 납품받아 오던 이 체인점은 최근엔 아예 김치 대신 겉절이를 내놓기 시작했다. 이 체인점 본사의 이아무개 사장은 “중국산 김치 파동 이후 김치를 받아 쓰는 체인점이 22곳에서 7곳으로 대폭 줄었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최근 국산 김치 업체와 거래상담 중이다. 이 사장은 “중국산 김치는 10㎏당 1만1000~1만2000원이지만, 국산은 3만5000원이나 달라니 거래를 성사시키기가 어렵다”며 “가격파괴 정책을 바꿔야 하는 게 아닌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식당가는 직격탄=‘조사 대상 식당 88.5%가 중국산 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서초구 일대 식당가는 ‘국산 김치만 사용합니다’라는 안내문이 곳곳에 눈에 띄었지만 손님들의 발길은 부쩍 줄어 한산했다. 주말이면 가족 나들이 손님으로 발디딜 틈 없이 꽉 차던 100여석 규모의 양재동의 한 식당은 23일 절반도 차지 않았다. “중국산 납 김치 보도 뒤 손님이 30~40%나 떨어졌어요. 거기에 기생충 알이라니…. 이 동네에선 그래도 장사가 좀 되는 축인 우리가 이 정도면, 다른 곳은 파리 날리고 있기 십상이죠.” 이 식당 주인 김아무개씨는 “가뜩이나 배추 값이 올라 김치 담그기도 힘든데 손님들이 ‘이거 중국산 아니냐’고 물을 때마다 속상해 죽겠다”고 하소연했다. 서초동 법원 앞 한 한식당의 송아무개 사장도 “직접 김치를 담그던 식당들마저 덩달아 매도돼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산 김치를 쓰던 가게들까지 직접 김치를 담그겠다고 나서니 배추 한 포기에 7000원까지 껑충 뛰었다”며 “매일 상에 올리는 김치 양을 줄일 수도 없고 아주 난감하다”고 덧붙였다. 서민이용 ‘가격파괴’ 식당들 다른 진로 모색=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내세우는 가격파괴 삼겹살 체인점에도 비상이 걸렸다. ㄷ숯가마 삼겹살집의 한 종업원은 “아예 김치에는 손도 안 대는 손님도 제법 된다”며 “평소보다 김치 소비량이 3분의 1 정도로 줄었다”고 말했다. 본사에서 중국산 김치를 납품받아 오던 이 체인점은 최근엔 아예 김치 대신 겉절이를 내놓기 시작했다. 이 체인점 본사의 이아무개 사장은 “중국산 김치 파동 이후 김치를 받아 쓰는 체인점이 22곳에서 7곳으로 대폭 줄었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최근 국산 김치 업체와 거래상담 중이다. 이 사장은 “중국산 김치는 10㎏당 1만1000~1만2000원이지만, 국산은 3만5000원이나 달라니 거래를 성사시키기가 어렵다”며 “가격파괴 정책을 바꿔야 하는 게 아닌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