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면접대상자로 한정”
자사고 “학생 선발권 박탈”
자사고 “학생 선발권 박탈”
광역단위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입학을 희망하는 중3 자녀를 둔 학부모 ㅎ씨는 가을부터 시작될 자사고 입시를 생각하면 벌써부터 머리가 아프다. ㅎ씨는 “입학원서와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데, 자소서를 쓰려면 학원에서 가서 컨설팅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지난해 자사고 대비 자소서 첨삭특강반을 개설했던 서울 송파구의 한 입시학원 관계자는 “8~15회 첨삭해주고 16만원을 받았는데, 우리 학원은 저렴한 편이고 다른 학원은 더 비싸다. 보통 분 단위로 ‘몇 분 컨설팅에 얼마’ 식으로 돈을 받는다”고 전했다.
자사고들이 지원학생들에게 모두 자소서를 요구한데 따른 부작용이 크다는 여론이 일면서, 서울시교육청이 최근 면접대상자에게만 자소서를 받도록 전형을 바꿨지만, 자사고 쪽의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
1단계 추첨전형, 2단계 면접전형으로 선발하는 서울지역 22개의 광역단위 자사고는 지금껏 1단계에서 자기소개서를 읽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모든 지원자에게 자소서를 받아왔다. 이에 따른 부작용이 커지자, 서울시교육청은 지난달 30일 올해부터 면접대상자에게만 자소서를 받도록 하는 내용의 ‘2017학년도 서울시 고입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해당 자사고 학교장들은 “자소서 제출을 없애면 추첨전형인 1단계에서 무조건 지원하고 보는 ‘묻지마 지원’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교육청의 방침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자사고교장협의회는 교육청 발표 직후 성명을 내고 “자사고의 학생 선발권을 박탈하고 자사고를 고사시키려는 정책”이라며 “서울시교육청의 입시전형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 교육혁신과 담당자는 이에 대해 12일 “사전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음에도 자사고 쪽에서 학생 선발권을 축소시키려 한다는 오해를 하고 있다. 자사고 쪽 입장과 관계없이 전형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 밝혔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2국장은 “해마다 중학교 교실에서는 자소서 대비를 위해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입시 부담을 줄이고, 관련 사교육 시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한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역단위 자사고는 평균 1~1.5 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지난해에는 8800여명의 학생들이 선발됐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