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청소년이라고 무시 받던 점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자신감이 생겼다.”
“일을 할 때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았고 우리나라도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일선 고교 현장에서 노동인권 교육을 요청하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올해 서울시내 고교를 대상으로 ‘학교로 찾아가는 노동인권교실’수업을 마련하자, 모집학급 240개의 3배수인 743개 학급(63개 고교)에서 수업을 해달라 신청해왔다. 이는 지난해 568개 학급이 신청한 것에 비해 175개 학급이 늘어난 수치다. 선정되지 못한 학교는 서울시와 협력해 ‘서울노동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인권 수업을 받게 된다. 윤명화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옹호관은 “지난해 실시한 123개 학급보다 두 배 많은 240개 학급분의 예산을 마련했는데도 신청학급이 늘었다. 내년엔 300개의 학급 이상이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학교로 찾아가는 노동인권교실’은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 전문강사를 학교 현장에 파견해 2시간여 교육을 진행한다. 수업 내용에는 ‘노동의 의미와 가치’, ‘노동인권 침해사례 토론’, ‘근로기준법 골든벨’ 등과 같은 활동이 포함된다.
학교 현장에선 반기는 분위기다. 지난해 이 교실 참여 학생 34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니, 전체 응답자 3147명 중 65%(2045명)의 학생들이 “처음으로 노동인권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 중 알바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다수였지만 근로계약서를 썼다는 학생은 드물었다. 임금체불을 당했을 때 할 수 있는 대응방법으로는 ‘모른다’가 가장 많았고, 권리 침해시 구제받는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잘 모른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실제 수업을 듣고 설문조사에 응답한 한 학생은 “지난해 3개월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했는데 1개월치 추가수당만 받고 나머지는 못 받았다. (수업에서) 3년까지는 받을 수 있다고 해서 받아내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