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보행길 5개 노선 25.4㎞ 조성
서울역고가 상부 이음길 6월 첫선
서울역고가 상부 이음길 6월 첫선
오는 6월 근대 교통의 중심이었던 서울역에서 길을 떠나자. 대한제국의 유산으로 가득한 정동을 둘러보고, 서울의 대표 관광명소 인사동을 만난다. 바닥에 표시된 ‘걷는 도시, 서울’ 안내판을 따라 더 걸어보자. 한양도성의 동쪽 문인 흥인지문이 나온다. 서울시가 새로 조성할 ‘이음길’의 일부 노선(6㎞)이다.
서울시는 4대문 안의 역사·문화 자원을 연결하고 보행 장애물을 제거하는 등의 ‘도심보행길’ 5개 노선 25.4㎞를 조성한다고 26일 밝혔다. 이음길은 위쪽 길만 두달 뒤 먼저 완성된다. 나머지 4개 노선은 연말까지, 서울역고가 보행길을 통과하는 이음길 아래쪽 노선은 내년 4월께 꼴을 갖춘다.
‘옛풍경길’은 서울 봄꽃 나들이 명소인 삼청공원, 조선시대 고관의 말을 피해 서민들이 다닌 길에서 유래한 피맛골, 국내 최초의 천주교 본당인 명동성당까지 이어진다.
‘늘청춘길’은 일제강점기 사라졌다가 1992년 한양도성의 일부로 복원된 혜화문에서 시작해 대학로, 국내 최초 근대시장이자 패션특구인 동대문시장을 지나간다.
‘종로운종길’은 경희궁에서 출발해 3·1운동 성지인 탑골공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묘, 떠오르는 구제물품 쇼핑 명소인 동묘 등 종로를 관통한다. 사람이 구름처럼 몰린다는 뜻으로 불린 ‘운종가’에서 이름을 땄다.
‘청계물길’은 한국 최초 근대식 극장 원각사를 복원하기 위해 1995년 문을 연 정동극장에서 출발해 광장으로 변신 중인 옛 국세청 부지, 국내 최초 주상복합건물인 세운상가로 이어진다. 시는 도심보행길을 ‘서울하늘색’으로 통일하고, ‘걷는 도시, 서울’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이용한 바닥안내판을 각 노선 시작과 종료 지점, 100m 간격, 스토리텔링 지점마다 표시한다. 걷는 데 불편을 주는 지장물도 제거하고 점자블록도 개선한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도심보행길’ 5개 노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