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 “점심대접, 돈 빌미로 참석 동원”
여가부 “돈 얘기 한 적 절대 없다”
여가부 “돈 얘기 한 적 절대 없다”
정부가 이번주 출범하는 ‘일본군 위안부 재단’ 발족식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개별접촉을 통해 발족식을 안내하며 참석을 독려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점심 대접’을 빌미로 할머니들의 참석를 동원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화해와 치유 재단’이란 이름의 이 민간재단은 지난해 12월 한·일 양국 정부가 체결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에 따라 설립되는 재단으로 28일에 발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따르면, 20일부터 22일 사이에 10여분의 피해자 할머니가 외교부로부터 정확한 행사의 목적이나 취지를 고지받지 못한 채 ‘다음주 수요일 식사를 대접할테니 자리에 나와달라’는 요청을 받거나 여성가족부로부터 ‘28일에 돈이 나오니 받으러 발족식에 나오시라’는 등의 말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대협에 전화를 받은 사실을 알려온 일부 할머니는 “몸이 아파서 나갈 수 없다. 그냥 통장으로 넣어주면 되는 것 아니냐?”고 묻기도 했지만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본인이 오셔야 한다. 아프면 모시러 가겠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정대협은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여성가족부는 “발족식을 안내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과정에서 내용이 와전된 것 같다. 참석을 해야 돈을 준다는 이야기는 절대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류지형 정대협 간사는 “(할머니들이) 이야기를 전하는 과정에서 일부 표현이 달라졌을 수는 있지만, 비슷한 내용이 복수의 할머니들에게서 들려오는 만큼 단순한 와전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발족식에 나오셔야 돈을 준다는)그런 말을 전혀 하지 않았는데 할머니가 왜 ‘통장으로 넣어주면 되지 않느냐’는 말씀을 하셨겠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피해자 지원 단체는 이번 사태가 ‘정부의 말이 와전된 것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피해 당사자가 원치 않는 방식으로 화해를 강요하는 정부의 일방통행이 본질이라고 지적했다.
허승 박수진 기자 rais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