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25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별검사팀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5일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박 특검팀은 정 전 비서관이 검찰 수사에서 확인된 청와대 내부 문건 외에 추가로 유출한 문건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하고 있다.
특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정 전 비서관은 검찰에서 47건의 문건 유출이 인정돼 기소가 됐다. 특검에서는 정 전 비서관에 대해 추가로 유출한 문건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특검팀은 정 전 비서관의 압수된 휴대전화에 대한 검찰의 디지털 포렌식(증거 분석)이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추가로 포렌식 작업을 진행했다. 이 대변인은 또 최순실씨의 재산 형성 과정과 정 전 비서관 조사가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로선 답변하기 어렵다”면서도 “혹시 연관된 부분이 있다면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청와대 압수수색에 대해 “공개적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시점은 공개할 수 없지만 현재 압수수색의 필요성 등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검찰 수사 과정에서 군사·공무상 비밀을 이유로 압수수색을 피하고 임의제출 방식으로 자료를 제출했는데, 특검은 이를 돌파할 방안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전날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한 조여옥 대위에 대해 “필요하다면 출국금지도 가능하다. 이번에 조사한 부분을 고려해 추가 조사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 간호장교로 근무했던 조 대위는 연수 도중 미국에서 귀국해 참석했던 지난 22일 국정조사특위 5차 청문회에서 일부 말바꾸기 논란이 일었다. 조 대위는 오는 30일 출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24~25일 최씨를 비롯해,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정 전 비서관, 조 대위 등을 소환 조사했다. 특히 최씨는 본인에게 제기된 혐의를 부인하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찬성 의혹과 관련해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을 26일 업무상 배임 혐의 피의자로 소환조사한다고 밝혔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