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국정농단 2차 공판서 밝혀
‘삼성합병 해결뒤 출연금’ 등 담겨
기업들 뇌물죄 적용 피하려 한듯
삼성 이재용·SK김창근
대통령 독대 전후 안종범에 문자
‘삼성합병 해결뒤 출연금’ 등 담겨
기업들 뇌물죄 적용 피하려 한듯
삼성 이재용·SK김창근
대통령 독대 전후 안종범에 문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지난해 미르·케이스포츠 재단 관련 의혹이 제기되자 청와대의 지시로 대응 문건을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청와대가 애초 대기업의 미르재단 등에 대한 지원이 ‘순수한 기부’가 아닐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정황으로 해석된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 심리로 이날 열린 최순실(61)씨,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47)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에 대한 2차 공판에서 검찰은 전경련이 만든 ‘재단 관련 언론제기 의혹 및 주요 내용 요약’이라는 제목의 내부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는 ‘삼성은 계열사 합병 문제를 해결한 직후였고, 에스케이(SK)는 최재원 부회장의 사면을 바라는 상태였으며, 롯데는 경영권 분쟁이 한창이었다’고 언급돼 있다. 또 ‘포스코는 자원외교 등 비리 수사 중이었고 한화는 김승연 회장의 복권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시제이(CJ)는 이재현 회장이 재판 중이었다. 두산은 박용성 전 회장이 뇌물공여 혐의로 재판 중이고 케이티(KT)는 인터넷 전문은행 사업자 선정이 걸려 있었다’는 내용도 들어있었다. 검찰은 “기업들이 이권을 챙기거나 형사책임을 면하려고 재단에 출연한 게 아닌지 문제가 있다는 점을 전경련이 자인하는 내용이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이 보고서를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이 안 전 수석의 지시를 받고 작성한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또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이 2015년 7월25일 안 전 수석에게 “아침에 만나 뵈서 반가웠습니다”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김창근 에스케이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지난번 말씀해주신 내용에 대해 뵙고 논의드리고 싶다”고 문자를 보낸 내역 역시 공개하며, 안 전 수석과 대기업 쪽이 대통령 면담 전후 각종 민원 사항 등을 논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는 검찰이 제출한 증거들의 증거 능력을 최씨 등의 변호인들이 대거 부정하고 나서 검찰이 ‘배후에 대통령이 있는 것 아니냐’고 강력하게 항의하는 등 양쪽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안 전 수석의 변호인 홍용건 변호사는 “(안종범 업무수첩은) 압수수색 과정에서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라고 주장하며 업무수첩 사본의 증거 채택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어 최씨의 변호인 이경재 변호사는 최근 ‘태블릿피시 조작 진상규명위원회’라는 단체를 만들어 검찰이 최씨 소유로 확인한 태블릿피시가 최씨 것이 아니라는 의혹을 제기한 변희재씨를 증인으로 신청하고 최씨의 진술조서도 증거 채택에 동의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변씨가 태블릿피시 전문가인지 진정성을 살펴보겠다”며 변씨의 증인채택 결정을 보류했다.
검찰은 안 전 수석이 직접 쓴 업무수첩마저 증거 채택에 동의하지 않은 것에 대해 “자신이 직접 펜을 들고 대통령 지시사항을 받아적은 수첩마저 부인하는 현장을 목도하고 있다. 대통령에게 불리한 증거가 법정과 탄핵심판에 제출되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다. 안 전 수석 결정의 배후에 대통령이 있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공격했다. 검찰은 앞서 공판준비 기일 때도 최씨 등의 변호인들이 태블릿피시를 문제삼고 나왔을 때 “여기가 대통령 재판정이냐, 정호성 재판정이냐”고 강하게 반박했다.
허재현 현소은 기자 catalu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