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팀 이재용 ‘뇌물’ 구속영장 비슷한 논리
“영재센터 오너 장시호” 최순실 주장에
검찰 “장시호 위에 최순실 있다”
“영재센터 오너 장시호” 최순실 주장에
검찰 “장시호 위에 최순실 있다”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국정농단’ 사건 재판에서 “장시호씨가 운영하던 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대한 삼성의 후원은 청와대와 삼성 수뇌부가 ‘소통’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는 박영수 특검팀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430억여원의 뇌물을 건넨 혐의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한 논리와 비슷한 취지의 진술이어서 주목된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 심리로 17일 열린 김 전 차관 등에 대한 첫 공판에서 김 전 차관의 변호인 이상훈 변호사는 “안종범 전 청와대 수석의 메모 등 관련증거에 의하면 삼성의 후원은 청와대와 삼성 수뇌부가 직접 소통해 지원된 것임이 이미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또 “후원금 지급 직전 대통령과 이 부회장이 독대한 사실도 알게 됐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특검팀에서도 삼성이 영재센터에 지원한 16억원 등을 삼성그룹에서 대통령에게 제공한 뇌물 430여억원의 일부로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삼성의 영재센터 지원은 김 전 차관과 관계없이 대통령과 삼성 사이에 ‘빅딜’의 결과로, 김 전 차관은 무죄라는 취지다.
김 전 차관 쪽은 지케이엘의 영재센터 2억원 후원도 “이기우 지케이엘 대표이사 등이 영재센터가 대통령 관심사항이라는 걸 알고 적극적으로 후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랜드코리아레저(GKL) 펜싱팀 창단으로 최씨의 더블루케이가 이득을 보게 한 혐의에 대해서도 “대통령과 최순실이 주도한 것이고, 지케이엘의 부담을 덜어주는 제안을 제시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재판에선 박 대통령이 삼성의 영재센터 후원의 구체적 상황을 인지한 정황도 나왔다. 검찰이 공개한 안 전 수석의 업무수첩에는 영재센터의 임원진인 박재혁 회장, 이규혁 전무 등의 이름과 함께 ‘9.7억’이라는 삼성의 지난해 2차 후원금액도 기재돼 있었다. 검찰은 “안 전 수석이 대통령의 말을 그대로 기재한 것이다. 대통령이 영재센터 임원이 누군지, 부가세를 제외한 2차 후원금이 9.7억원이었다는 정확한 액수까지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날 법정에서 기소 뒤 처음 대면한 최순실씨와 조카 장시호씨 사이에는 신경전이 벌어졌다. 장씨는 삼성 및 지케이엘에 대한 직권남용과 강요 혐의를 자백하는 반면, 최씨 쪽은 “김 전 차관에게 영재센터 운영에 있어 기업 후원을 알아봐 달라고 했을 뿐, 기업을 특정하진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최씨 쪽은 또 “장씨가 예산집행 및 인사 전권을 확보해 영재센터를 개인 사욕을 충족하는 도구로 삼았다. 장씨가 실질적 오너”라고도 했다. 이에 검찰은 “장씨 위에 최씨가 있다는 게 확인됐다”고 반박했다. 장씨는 최근 박영수 특검팀에 최씨가 사용했다는 제2의 태블릿피시를 제출한 바 있다. “태블릿피시 사용법도 모른다”는 최씨 주장을 조카가 부정하고 나선 것이다. 최씨는 지난 16일 헌재에서 열린 박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나와 “(조카 장씨가) 특검 강압에 못 이겨 피시를 제출한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현소은 허재현 기자 s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