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소환에 불응하다 체포영장이 발부돼 강제소환된 최순실씨가 1월25일 오전 서울 대치동 특검에 들어서며 고함을 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최순실씨가 해외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으로 추진된 미얀마 케이(K)타운 사업에서 사익을 취한 정황이 드러났다.
30일 이규철 특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최순실씨가 미얀마 공적개발원조 과정에서 개인적인 이익을 취득한 혐의가 있다”며 “이와 관련해 최씨를 오늘 알선수재 혐의로 소환했으나 불응했다. 곧 해당 혐의로 체포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특검은 유재경 주 미얀마 대사도 31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미얀마 케이타운 사업은 지난해 초 박 대통령의 이란, 미얀마 등 순방을 앞두고 추진됐다. 미얀마에 760억원 규모의 컨벤션 센터를 무상원조로 지어주고 한류 관련 기업들을 입점시킨다는 계획이었다. 앞서 최씨의 이권개입 논란이 불거진 이란의 케이(K)타워 사업과 유사한 구조인데 박 대통령의 미얀마 방문이 연기되면서 사업도 중단됐다. 최씨는 당시 미얀마에서 사업을 하던 ㄱ씨와 짜고, ㄱ씨 회사를 케이타운 프로젝트 대행사로 선정하기로 한 뒤 지분의 상당량을 넘겨받은 것으로 특검은 보고 있다.
미얀마 케이타운 사업은 최씨가 사업 추진 1년여 전부터 구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씨의 최측근이었던 고영태 더블루케이 이사는 2015년 4월 문체부장관 보좌관 등에게 “미얀마 케이타운 사업이 곧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씨는 이를 최씨에게 전해 들었다고 한다.
유재경 대사는 삼성그룹 임원 출신으로, 케이타운 사업 추진을 앞둔 지난해 5월 미얀마 대사에 전격 임명됐다. 유 대사는 삼성전기 글로벌마케팅실장(전무)을 지냈으며, 유럽본부장으로 독일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최씨가 유 대사의 면접을 봤다는 의혹까지 제기됐지만 유 대사는 지난해 11월 <문화방송>(MBC)과 만나 “최순실씨와 일면식도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특검은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문체부 인사개입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문체부 관계자 3~4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우 전 수석은 지난해 초 문체부 국·과장 6명을 산하 기관으로 발령내도록 부당하게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당시 좌천성 인사가 민정수석실에서 내려온 명단을 토대로 이뤄졌으며, 김종 당시 문체부 2차관도 개입했다는 관련자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부당 개입 의혹이 제기된 2014년 문체부 1급 고위공무원 ‘찍어내기’와는 다른 사안이다. 이규철 대변인은 “오늘 소환되는 문체부 관계자들은 블랙리스트 사건과 관계가 없고, 수사 과정에서 인지된 사건이다. 아직 우 수석의 소환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