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사회공헌팀장 초기 검찰 조사 때 위증
“안종범 지시에 따라 거짓진술했다”
최순실씨 변호인 “고영태 녹취록 조사 제대로 안됐다” 주장
재판부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증인으로 신청하라”
“안종범 지시에 따라 거짓진술했다”
최순실씨 변호인 “고영태 녹취록 조사 제대로 안됐다” 주장
재판부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증인으로 신청하라”
국정농단 사건 재판에서 청와대가 미르·케이스포츠재단 설립에 관여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직원에게 검찰에서 거짓 진술을 하도록 압력을 가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 심리로 13일 열린 최순실(61)씨와 안종범(58)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소원 전경련 사회공헌팀장은 “청와대에서 전경련과 기업이 자발적으로 재단을 설립·출연했다는 취지로 (진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씨는 안 전 수석의 지시를 받은 최상목 전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현 기획재정부 1차관) 등과 함께 미르재단 설립 관련 청와대 회의에 4차례나 참석했지만, 초기 검찰 조사에선 이를 숨겼다. 이씨는 “(청와대의 거짓 진술 지시를) 이용우 전경련 사회본부장으로부터 들어서 알게 됐다”며 “이후 (결국) 진실이 드러날 것이기 때문에 사실대로 진술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날 증인으로 나온 박찬호 전경련 전무도 “2015년 10월 (미르재단 설립 당시) 최상목 비서관이 연락와 ‘왜 청와대가 끌어들인 것처럼 보이게 하느냐’며 질책하듯 말했다. 청와대가 앞에 나서지 않은 것처럼 보여야 한다는 뜻에서 조심하라는 경고를 보낸 것으로 이해했다”고 증언했다.
이날 법정에는 이수영 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이 증인으로 나와 안 전 수석이 ‘포레카 강탈’ 피해 업체가 금융위원회 광고를 맡지 못하도록 보복을 가한 정황을 공개했다. 이 전 행정관은 2015년 10월 안 전 수석이 “컴투게더 같은 데는 역량이 떨어지니까 (금융위 광고를) 잘하는 업체에 맡기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컴투게더는 포스코 계열사인 포레카를 인수한 뒤 지분을 빼앗으려는 최씨와 차은택씨 등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안 전 수석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금융위가 컴투게더에 광고물량을 주지 않도록 압력을 가하려 했다는 정황이 지난달 10일 차씨 재판에서 공개된 바 있다. 이 전 행정관은 ‘안 전 수석의 지시를 금융위에 전달했고, 금융위는 컴투게더가 만든 금융개혁 광고를 채택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한편 이날 재판에선 최씨 쪽 변호인이 고영태 전 더블루케이 이사와의 대화가 포함된 김수현(전 고원기획 대표)의 녹음파일 2000여개를 모두 복사하겠다고 주장하며 검찰 쪽과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검찰은 녹음파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김씨의 영어학습 등 사적인 내용을 제외한 29건에 대한 녹취록을 제출했다고 맞섰다. 재판장은 “변호인이 중요하다고 판단하면 증인으로 신청해달라”고 정리했다.
현소은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