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에 진행된 3·1절 행사. 한겨레 자료사진.
3·1절을 앞두고 서울 종로구청의 고민은 각별했다. ‘3·1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한 종로구에서 진행할 만세운동 행사엔 태극기가 빠질 수 없는데, 몇 달째 지속되고 있는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의 거점도 종로구이기 때문이다.
자칫 구에서 진행하는 3·1절 행사가 탄핵반대 의미로 읽힐 ‘오해의 소지’가 있어서 행사와 관련해 고민이 많았지만, 구청 쪽은 결국 “만세운동에 태극기가 빠지는 것은 본질에 맞지 않다”고 판단해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조은실 종로구청 문화사업팀장은 “이념싸움에 희생되고 있는 태극기가 안타깝기도 하고 태극기 본연의 가치를 찾아준다는 차원에서 행사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종로구는 명실상부한 ‘3·1운동의 발상지’다.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요리집 태화관은 인사동에 터가 있고, 당시 학생들은 종각의 와이엠시에이(YMCA)를 거점 삼아 만세운동을 준비했다. 3·1운동의 함성이 가장 먼저 울려 퍼졌던 탑골공원 역시 종로3가에 있다.
3·1절 행사는 구청의 연례 행사지만, 이번 행사 준비엔 경찰에도 긴밀한 협조를 구했다. 행사는 1일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인사동 남인사마당 야외무대 및 보신각~종로2가 일대에서 열리는데, 탄핵반대 쪽에선 오전 11시~오후 2시 세종대로부터 동대문까지 기도회를 열 계획이다. 구청 쪽은 오전 11시45분께부터 500여명이 태극기를 들고 남인사마당에서 보신각까지 ‘태극기 물결 행진’을 재현할 계획도 있다. 시간대와 장소가 일부 겹칠 수밖에 없다. 조은실 팀장은 “짧은 거리지만 경찰 쪽에 양쪽이 충돌하지 않게 해달라고 협조 요청했고 저희도 전담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