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이 대통령 탄핵 이후 시민들이 그려본 세상을 담은 ‘촛불권리선언’을 발표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파면이 선고된 다음날인 11일 오후2시 퇴진행동은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촛불 시민들과 함께 하는 2017 촛불권리선언'을 발표했다. 촛불권리선언은 지난 2월18일 ‘2017대한민국, 꽃길을 부탁해’ 시민대토론에서 나온 시민들의 의견을 일반 시민들로 구성된 ‘시민 성안위원회’가 정리하고 선별해 만들어졌다.
촛불권리선언문은 촛불의 정신을 정의한 전문과 정치·경제·사회 등 10개 분야에 관한 개혁 요구사항을 담은 본문으로 이뤄졌다. 촛불권리선언문은 “국민이 투표장을 넘어 생활 전반에서 주권을 행사할 때 소수의 정치세력이 국정을 농단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며 국민발안제·국민소환제 등을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국가는 재벌이 누리는 특권을 폐지해 부당하게 얻어온 부를 환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치적인 이유로 문화예술의 자유를 억압해선 안돼며 민주사회를 위해 언론의 자유는 온전하게 보장돼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이을재 퇴진행동 시민참여특위는 촛불권리선언의 의미를 되짚었다. 그는 “글자 수 4608자의 촛불선언문은 시민대토론에 참여한 2201명의 시민의 의견을 모아 두 차례의 성안위원회 회의를 걸쳐 만들어진 것”이라며 “이 촛불선언문은 광장에 나온 1500만 촛불 시민들의 땀과 눈물이 담겨있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시점에 시민대헌장이자 대한민국의 헌법인 촛불권리선언을 발표해 촛불의 명령을 되새기고자 한다”고 말했다. 시민대토론에 참여한 보건교사 김종림씨는 “그동안 광장에 모인 시민들의 에너지를 보며 ‘멋있다, 대단하다’ 생각하면서도 ‘그다음은 어떡하지’ 이런 고민을 하곤 했다. 촛불권리선언은 그 고민에 대한 답”이라고 말했다.
오늘 발표된 ‘2017촛불권리선언'은 시민대토론회에 나온 시민들의 의견을 정리한 ‘1600만 촛불의열망, 100대 촛불개혁과제'와 엮어 한 권의 자료집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퇴진행동은 이날 저녁에 열릴 '20차 범국민행동의날 촛불집회' 본무대에 올라 촛불권리선언을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함께 낭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글·사진 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