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반잠수선박에 올려진 세월호의 왼쪽 램프에 소형포크레인과 승용차가 걸린 채 매달려 있다. 사진 아랫부분에는 작업자들이 흡착포 등을 이용해 세월호에서 흘러 나온 폐유를 처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세월호가 예정대로 30일 목포신항으로 출발한다.
해양수산부(해수부)는 29일 전남 진도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0일께 목포로 출발하기 위해 반잠수선과 세월호 선체를 고정하는 작업 이어갈 예정”이라며 “기상상황에 따라 작업이 30일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확한 출발 시점은 기상 상황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오전까지 최대 2.2m의 파고가 예상됨에 따라 해수부는 파고가 잔잔해진 후 작업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목포신항으로 출발하기 전까지 반잠수선 날개탑을 제거하고 반잠수선과 세월호를 고정하는 두 가지 작업이 남아있다. 28일 오후2시께 제거가 필요한 날개탑 4개 중 2개는 제거됐다. 29일 기상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남은 2개의 날개탑 제거 작업은 30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날개탑 제거 작업은 용접을 통해 반잠수선과 날개탑을 분리한 후, 절단된 날개탑을 반잠수선 인근 작업선에 설치된 2500톤 해상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반잠수선 선박과 세월호 선체를 고정하기 위해서 선체 곳곳에 용접작업이 이뤄진다. 세월호 선체와 리프팅빔 사이 22곳, 리프팅빔과 지지대 사이 28곳 등 모두 50곳이다. 28일 오전까지 16곳의 용접작업을 마쳤지만 이날 반잠수선 갑판에서 동물뼈가 발견되면서 이후 작업은 중단된 바 있다. 세월호와 반잠수선을 고정하는 작업 역시 기상 상황이 호전되는 대로 재개할 예정이다.
한편, 28일 발견된 동물뼈에 대해 해수부는 “국과수 검증 결과 동물뼈로 확인됐다”며 “국과수에서 디엔에이(DNA)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라며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목포신항에 도착하기 전까지 국과수와 해경 직원 각각 1명씩 반잠수선에 상주해 현장 작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30일 출발할 것으로 예정되는 세월호는 8시간 동안 목포신항까지 105㎞를 이동한다.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하면 해수배출 작업과 기름혼합물을 제거하고 세월호를 뭍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진도/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