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 첫재판서 특검 진술조서 공개
작년까지 맡았던 디자이너 증언 이어
2013년까지 옷 제작자도 추가 확인
작년까지 맡았던 디자이너 증언 이어
2013년까지 옷 제작자도 추가 확인
최순실씨의 뇌물수수 혐의를 다투는 첫 공판에서 최씨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이가 ‘경제공동체’인지 여부를 둘러싼 공방이 벌어졌다. 특검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최씨가 3억원에 이르는 박 전 대통령 옷값과 의상실 임대료 등을 대신 지급한 점을 내세웠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김세윤) 심리로 4일 열린 최씨의 뇌물 혐의 첫 정식재판에서 특검은 서울 강남에서 의상실을 운영했던 디자이너 임아무개씨의 진술조서를 공개했다. 임씨는 “2013년 1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박 전 대통령의 의상을 제작하거나 수선했으며, 재킷과 원피스 등 한 달에 7벌 정도 만들었다. 원단 비용과 의상실 임대료는 대부분 최씨가 지급했다”고 진술했다고 특검이 밝혔다. 임씨는 또 “2014년엔 (최씨의 측근) 고영태씨에게서, 2015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최씨에게서 월급 400만원을 받았다. 최씨한테 받은 돈으로 사무실 보증금과 임차료, 관리비도 냈다”고 특검에서 진술했다고 한다. 특검은 또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박 전 대통령 옷을 만들었던 홍아무개씨가 “매달 원단 비용과 급여 등 1000만원을 최씨한테 직접 현금으로 받았다. 최씨가 청와대 빈방으로 몰래 데려가 현금이 든 봉투를 주기도 했다”고 진술한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특검이 뇌물 혐의 공판에서 최씨의 옷값 대납 사실을 먼저 내세운 이유는 최씨와 박 전 대통령이 사실상 ‘한살림’을 할 정도로 밀접한 관계라는 점을 밝히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최씨가 삼성에서 받은 후원금과 재단 출연금이 박 전 대통령을 겨냥한 뇌물이라는 점을 입증하려면 우선 돈 문제와 관련한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반면 최씨 변호인 쪽은 “최씨는 박 전 대통령에게 돈을 받아서 정산했다고 한다. 두 사람이 경제적 공동체라는 점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날 재판에선 지난해 10월 의상실 및 태블릿 피시 관련 언론 보도가 나온 뒤 청와대가 나서 박 전 대통령 옷을 제작했던 의상실을 폐쇄하려고 했던 정황도 공개됐다. 임씨와 함께 의상실에서 일했던 강아무개씨는 “지난해 10월에 윤비서님(윤전추 행정관)이 ‘의상실을 정리하자’고 했다. (의상실 폐쇄 직후인) 12월30일엔 서울숲 주차장에서 만나 잔여 퇴직금이 들어 있는 봉투를 받았다”고 진술했다고 특검이 밝혔다. 임씨도 특검에서 “지난해 10월 이후 윤 행정관이 전화로 ‘기자들이 와서 물으면 모른다고 해달라’고 했다. 11월엔 윤 행정관 요구로 박 전 대통령 의상 제작과 관련한 작업지시서를 모두 정리해 전달했다”고 진술했다.
현소은 기자 s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