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지 서울대 인문대 학생회 직무대행 반학생회장 연석회의 의장이 24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 차린 농성장 앞에서 단식농성을 하고 있다. 시흥캠퍼스 추진에 반대하며 성낙인 서울대 총장 사퇴 촉구 단식농성을 하다 임수빈 부총학생회장이 지난 20일 병원에 실려가자 단과대학 학생회장들이 이날부터 함께 단식에 들어갔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4일부터 서울대 단과대 학생회장 및 동아리연합회장 전원이 성낙인 총장 퇴진 및 시흥캠퍼스 실시협약 철회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시흥캠퍼스 조성을 둘러싸고 지난해 10월부터 달아오르기 시작한 학교와 학생 간 갈등이 갈수록 격해지는 양상이다.
갈등은 경기도 시흥시에 제2캠퍼스를 조성하겠다는 학교 쪽 계획이 2013년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시작됐다. 기숙형 캠퍼스(RC, Residential College)가 포함된 데 대한 학생 반발이 거셌다. 서울대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 대표가 참여하는 대화협의체를 구성했다. 그러나 대화는 잘 이뤄지지 않았고 그나마 2015년 이후 열리지 않았다. 시흥캠퍼스 논의 자체가 일시 중단됐기 때문이다.
잦아들었던 불씨는 지난해 8월 다시 거세졌다. 서울대가 시흥시 및 민간 사업자와 실시협약을 체결했기 때문이다. 총학생회는 지난해 10월 전체 학생총회를 열어 ‘시흥캠퍼스 실시협약 철회 요구안’과 ‘본부점거안’을 통과시켰다. 이때부터 153일간의 본관 점거 투쟁이 시작됐다.
문제는 시흥캠퍼스의 실체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 명확히 결정된 것은 ‘특정 학년이 이동’하거나 ‘특정 단과대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는 것 뿐이다. 서울대는 “4차 산업혁명과 통일시대를 대비한 사업과 시설 마련 등을 위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지자체가 땅을 주고, 건설사가 지어준다고 하니 넙죽 받은 것”이라며 “운영에 대한 청사진도 없이 추진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운영비가 모자라 등록금을 올리거나 학교가 상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한다.
사태는 감정 싸움으로 번져갔다. 본관 점거 5개월여가 지난 지난달 11일 서울대는 직원들을 동원해 학생들을 강제 퇴거시켰다. 이 과정에서 ‘학교 직원이 소화전으로 학생을 겨냥해 살수했다’는 ‘물대포’ 논란까지 벌어졌다. 학생들은 성 총장에게 “강제 진압 책임을 지고 퇴진하라”고 요구했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임수빈 서울대 부총학생회장(총학생회 권한대행)은 지난 13일부터 행정관 앞 천막 등에서 단식농성을 벌였고, 지난 20일 병원으로 옮겨졌다.
임 부총학생회장은 24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성 총장이 시흥캠퍼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믿음이 없다”면서 “학교 쪽이 시흥캠퍼스 조성을 주장하려면 설득력 있게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학생들은 철회 주장을 고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다음 달 1일 성 총장 퇴진 등을 요구하는 총궐기집회를 열 계획이다. 한규섭 대외협력처장은 “대화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대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