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펙 국제학술회의 이틀째
동아시아 평화 정착에 걸림돌로 지적돼 온 역사인식의 불일치를 좁히기 위해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자료집을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다. 또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아펙)의 동아시아 안보 논의에 시민단체 참여를 허용함으로써 정부가 위협이라고 가정한 것들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오타 오사무 일본 불교대 교수는 12일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열린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주최 ‘아시아의 새 질서와 연대의 모색’ 국제 심포지엄 이틀째 회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동아시아에 평화적이고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선 역사인식에서 화해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자료집을 만들고, 이를 공통의 역사교재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자료집은 “왜곡된 역사교과서가 나왔을 때 역사를 배우는 사람들이 자신의 판단에 따라 이를 비판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자국 중심적이고 폐쇄적인 ‘국민의 역사’가 아닌 지역과 사회, 지구를 향한 ‘시민의 역사’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대훈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평화를 위한 시민단체와 정부의 협력관계’란 제목의 발제에서 “아펙에서도 냉전시대의 국가안보 의제와 비슷한 구호만 내걸고 있다”며 “평화와 안보 영역에 대한 민주적인 정부-시민단체의 개입을 확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안보정책의 투명성과 민주주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시민단체와 같은 비정부 행위자로 구성된 자문기구를 세워 정부가 가정하고 있는 위협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아펙에서 △무장해제와 탈군사화를 통한 평화공존 체제 구축 △인도주의적 지원 및 개발 원조 △정의·인권·다양성을 인식할 수 있는 사회 구축 △지속 가능한 경제 및 경제정의 구현 등을 의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아펙 공식행사의 하나인 이번 심포지엄에는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타이, 인도네시아 등 10여 나라 60여명의 학자와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참석했다. 한겨레통일문화재단은 동아시아의 새로운 질서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선 동아시아 각국의 지혜를 모으는 게 필요하다고 보고, 이런 심포지엄을 해마다 열 계획이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