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영전 민형사 책임 곤란”
<그때 그사람들>에 대한 법원의 부분 상영금지 결정에 영화계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명백한 침해’라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영화인회의(이사장 이춘연)는 31일 오후 성명서를 발표하고 “법원의 이번 결정은 상상과 허구가 본질인 예술 창작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 천박한 편견이자 지극히 정치적인 판단”이라며 “영화 상영 전에 영화의 일부를 문제삼아 상영을 제한하는 것은 어떤 논리와 명분으로도 정당화할 수 없는 시대착오적이고 반문화적인 만행”이라고 규탄했다. 젊은 영화감독 모임인 디렉터스 컷(대표 이현승)도 “<그때 그사람들>의 상영 금지 결정은 명백한 사전검열이며, 창작물의 일부분에 대해 가위질을 요구하는 것은 스스로 창작자와 관객을 대신하고자 하는 오만한 결정”이라고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감독들의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정책위원장인 오기민 마술피리 대표는 이번 결정이 “명백한 검열이고 터무니없는 정치적 재단”이라며 “여론에 공개되기도 전에 사법부가 이런 결정을 내리는 것은 전반적으로 예술 창작행위를 위축시키는 것이고 앞으로 창작자들이 사회적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입 다물라는 명령에 다름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평론가협회 회장인 주진숙 중앙대 교수는 “법원에서 지적한 특정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현실과 영화적 허구를 나눌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이며 이처럼 현실과 영화를 뭉뚱그려 사고하게 되면 영화적 상상력이나 역사의 재해석의 가능성은 들어설 틈이 없어지고 만다”고 말했다. 박찬욱 감독은 “임상수 감독은 전작들을 통해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아온 감독이기 때문에 <그때 그사람들>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 관객이 기다려온 영화인데 이런 판결이 나면 파장이 클 수밖에 없고 결국 한국은 표현의 자유가 없는 나라로 국제적인 낙인이 찍힐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