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조합원들이 3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최저임금 만원 보장과 비정규직 철폐, 노조 할 권리를 요구하는 총파업 대회를 참가해 비정규직 철폐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민주노총은 학교 급식실 노동자와 대학 청소·경비 노동자, 병원 청소노동자 등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대거 참가해 파업을 주도하는 첫 민주노총 총파업이라고 밝혔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형광 연두색(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이나 분홍색(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조끼를 입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광장을 메운 ‘색다른’ 집회가 30일 서울 도심에서 열렸다. 정규직 남성이 중심이 된 기존 대규모 집회와 달리, 학교급식·청소·경비 노동자 등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중심이 된 첫번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총파업대회다.
이날 민주노총은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북쪽광장에서 주최 쪽 추산 5만여명(경찰 추산 2만4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최저임금 1만원, 비정규직 철폐, 노조할 권리 등을 요구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뒤 첫번째 총파업을 진행한 민주노총은 “민주노총 투쟁 역사에서 처음으로 비정규직이 앞장서고 주도하는 집회”라고 강조했다.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대회사에서 정권 초기에 총파업을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친노동 정부를 표방하고 있지만 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수구적폐 세력들의 반격이 시작될 것은 불 보듯 하다”며 “지금이야말로 다시 오지 않는 적폐청산과 사회대개혁의 골든타임이다”라고 설명했다.
총파업대회에 앞서 이날 정오부터 서울 도심에서 노조와 장애인·빈민·농민·청년단체 등 17개 조직이 각각 사전집회를 열었다. 낮 12시께 서울역 광장에는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소속 노동자 1만여명이 모였다. 우시분 충북지부장은 “급식실에서 일하는 사람을 아줌마라고 부르지 왜 선생님이라고 부르냐고 항의하는 선생님도 있고, 해마다 잘릴까봐 탈모에 시달리는 강사직군 선생님도 계시다”며 “아이들이 배워야 할 학교에서 반노동·반교육적인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본대회가 끝난 뒤 정부서울청사, 세종로사거리를 거쳐 종로3가 네거리에서 마무리 집회를 열고 오후 5시20분께 해산했다. 이날 경찰은 앞서 밝힌 대로 차벽을 설치하지 않았다. 병력 75개 중대 6000여명을 동원해 집회 참가자가 행진할 때 교통 소통 관리만 했다. 경찰과 행진 참가자 사이의 충돌 등은 없었다. 이날 집회에 참가한 전태호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라북도스포츠강사분과장은 “경찰이 차벽 없이 폴리스라인만 설치해서 위화감도 없고 이전보다 자유롭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전국 국공립 초·중·고 1만1304개 학교 중 3704곳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했고, 전체의 19.21%인 2171개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박수지 기자, 최소연 김진완 교육연수생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