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전국 우정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열고 “집배원 과로사를 근절하고 부족인력을 충원하라”고 요구했다.
전국 1만여명의 집배원 노동자가 총궐기대회를 열고 “집배원 과로사를 근절하고 부족인력을 충원하라”고 요구했다.
전국우정노동조합(우정노조)는 22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전국 우정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전국 8개 지방본부, 248개 시군단위 지부에서 1만 3000여명(경찰 추산 8000명)의 집배원이 모여 “과로사 및 돌연사 방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즉각 마련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집배원 노동자들은 ‘집배원은 쉬고 싶다, 근로시간 단축하라’ 적힌 손팻말을 들고 “집배원은 기계가 아니다, 부족인력 충원하라”고 외쳤다.
22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전국 우정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열고 “집배원 과로사를 근절하고 부족인력을 충원하라”고 요구했다.
최근 집배원이 과로사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잇따르면서 집배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정노조의 주장에 따르면, 택배 물량이 증가하고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하루 배달 주행거리가 80~100km 이상인 집배원이 600여명에 달한다. 그러나 인력 부족으로 인해 대다수의 집배원 노동자들은 새벽 5시에 출근해 9시 넘어 퇴근하는 ‘장시간 중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돌연사·교통사고·자살 등 집배원들의 인명 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6일 경기도 안양시 안양우체국 인근에서 이 우체국 소속 집배원 원아무개(47)씨가 스스로 몸에 불을 붙여 목숨을 끊었다. 우정노조에 따르면, 올해만 12명의 우정노조 조합원이 과로사·돌연사 및 분신으로 세상을 떴다. 지난 5년 동안 장시간 노동과 스트레스로 인해 집배원 70여명이 사망했고 이 중 15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김명환 우정노조 위원장은 “그동안 우리 우정노동자들은 이 일이 천직인 줄로만 알고 죽도록 일만 해왔다. 그러나 죽도록 일만 했기 때문에 우리 동료들이 계속 죽어 나갔다. 과도한 업무로 인한 과로 및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이지만 우정사업본부는 죽음의 행렬 앞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22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전국 우정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열고 “집배원 과로사를 근절하고 부족인력을 충원하라”고 요구했다. 집배원 노동자의 자녀 박성균(13)군이 올라 문재인 대통령에 전달하는 편지를 낭독하고 있다.
집배원 노동자의 자녀 박성균(13)군도 무대에 올라 문재인 대통령에 전달하는 편지를 낭독했다. 박군은 “아빠의 걱정을 조금이라도 줄여드리고 싶은 마음에 편지로 대통령 할아버지께 부탁드립니다. 집배원 아저씨들의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집배원 아저씨들을 많이 늘려주세요. 그래야 저희 아빠가 집에 일찍 들어오셔서 엄마와 산책하고 저와 즐겁게 지낼 수 있다”고 호소했다.
우정노조는 이날 ‘우정사업본부 규탄 결의문’을 통해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우정사업본부장은 인력 충원 등 대통령의 약속을 이행하고 △ 쓰러지는 집배원을 살리고 노동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3600여명의 노동자를 즉각 증원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집배원 과로사 근절을 위한 우체국 특별근로 감독을 즉각 시행하라고 결의했다.
22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전국 우정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열고 “집배원 과로사를 근절하고 부족인력을 충원하라”고 요구했다. 우정노조 조합원들이 무대에 올라 ‘과로사’, ‘돌연사’가 한 글자씩 적힌 얼음을 깨부수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집배원 노동자들은 ‘과로사’, ‘돌연사’ 한 글자씩 적힌 얼음을 깨부수는 퍼포먼스를 벌인 뒤 시청역부터 광화문 광장 등 광화문 거리를 가두행진했다. 글·사진 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