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우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가운데)이 지난해 10월5일 오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국과 이란의 케이(K) 타워 사업에 미르재단을 참여시킨 것에 대해 따져묻는 야당 의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박근혜 정부가 지난해 5월 대통령 국빈 방문의 성과로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한국과 이란 간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케이(K)타워 프로젝트’가 이란에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8일 박 전 대통령 이란 방문 때 체결된 ‘이란 문화와 비즈니스 케이타워 개발을 위한 기본협약서’의 진위 여부를 외교부 주이란대사관을 통해 확인한 결과, 이란 교원연기금 쪽이 “수일간 서명본을 찾아봤으나 담당자가 수차례 교체됐고, 법적 구속력도 없는 양해각서(MOU)다. 서명 이후 별다른 후속조처가 없어 관심을 두지 않았다”며 “원본을 찾을 수 없다”고 지난 4일 주이란대사관에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이란대사관이 계속 찾아봐줄 것을 요청하자 연기금 쪽은 “1년에 수천건의 각종 투자, 자금 운용 계약을 맺고 있다. 사업 진행이 안되고 있는 엠오유까지 찾아줄 여력이 없다”고 답했다고 한다.
협약서는 이란에 케이타워를, 서울에는 아이(I)타워를 구축해 양국 간 문화교류를 활성화한다는 내용이 뼈대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이란 교원연기금 사이에 맺어졌다. 당시 협약서에 “한류 교류 증진의 주요 주체는 한국 내 16개 대기업이 공동 설립한 미르재단이 될 것”이라고 적혀 있어 미르재단 지원용 사업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앞서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 21일 논란이 된 이란 케이타워 사업을 취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공사는 이 사업에 1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었다.
임종성 의원은 “케이타워 양해각서 말로 이명박 정부 때부터 반복돼 온 전시 외교의 한 단면이자 적폐”라면서 ”문재인 정부만큼은 이런 껍데기 외교가 아닌 실효성 있는 외교를 이어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