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내 구성원들의 인권보호를 위해 설립된 서울대 인권센터가 학생들과 갈등을 겪고 있다. 학생들은 인권센터가 교수 입장에 서서 거듭 판정을 내리고 있다고 비판하며 인권센터 주최 행사를 ‘보이콧’했다.
서울대 학생 자치단체인 서울대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는 오는 11일부터 ‘2017 인권문화제’를 연다고 10일 밝혔다. 대신 이들은 서울대 인권센터가 주최하는 ‘서울대 SNU 인권주간’ 행사 참여를 거부했다. 학생들이 ‘교수-학생 간 권력관계에 의한 인권침해’ 사태를 주제로 프로그램을 준비하겠다고 하자, 인권센터가 “교수 개인에 대한 인권침해와 명예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며 막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문화제 마지막날 항의의 표시로 인권센터까지 행진도 계획하고 있다. 이들의 참여 거부로 2013년부터 매년 치러졌던 인권주간 행사는 취소됐다.
학생들은 “인권센터가 지속적으로 교수편을 들고 있다”며 ‘교수 인권센터’라고 비판하고 있다. 최근 대학원생 노동 착취, 성희롱 등으로 물의를 빚은 사회학과 ㅎ교수에게 인권센터가 ‘정직 3개월’의 권고를 내린 바 있다. 이 사건 대응을 위한 학생 모임 관계자는 “반성의 기미도 보이지 않는 등 교육자로서의 자질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학교에 돌아왔을 때 피해 학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해임 권고가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지난달에는 인권센터가 서울대 <대학신문>에 ‘전 주간 교수의 인권을 침해했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게재하라고 권고했다. 사건 당시 활동한 학생 기자들에겐 인권교육을 이수하도록 권고했다. 지난 3월 <대학신문>은 ‘학교 본부의 편집권 침해’를 주장하며 1면을 백지발행하고 항의서를 발송하는 등 전 주간 교수를 비롯한 대학 쪽과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인권센터 관계자는 10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모든 사건에 대해 양쪽 입장을 충분히 듣고 절차대로 공정히 진행했다. 비밀 유지 의무를 지키기 위해 상세한 설명이 어려워서 오해가 생기는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