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안해 문제” - “홈피에 이미 공개” 실랑이
열린우리당 대전시당 ‘원자력 안전실태 규명 진상조사단’(단장 이상민 의원)은 21일 한국원자력연구소(원연)에서 원자력연구소와 원전연료㈜, 원자력환경기술원을 대상으로 임시 저장돼 있는 방사성폐기물 안전실태와 원자력 발전시설인 스마트 현황 등에 대한 1차 조사를 벌였다.
진상조사단은 “많은 대전 시민들이 원연에 방사성폐기물이 임시로 보관된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것은 이런 사실을 공개하지 않아 빚어진 문제 아니냐”고 물었다. 또 원자력발전시설 입지를 검토하면서 원연 등이 이를 적극 지방자치단체에 알리지 않고 추진한 경위 등을 추궁했다.
원연 핵연료주기기술개발단은 “현재 원연에는 1저장고와 부속시설, 2저장고 등 3곳에 1만1924드럼이 보관돼 있으며 연간 증가량은 320드럼”이라며 “사용후 핵연료 258다발과 시험용 경수로에서 사용한 핵연료 8다발 바스켓(46봉), 낱개로 24봉이 보관돼 있다”고 밝혔다.
박성원 개발단장은 “원연 관련 홈페이지 등에 이러한 내용이 공개돼 있다”고 해명했다.
또 원자력환경기술원은 “전국의 2천여 방사성 동위원소 사용업체에서 연간 200여 드럼 정도 들어오는데 올해는 100여 드럼 수준이고 경주 방폐장이 지어지면 70% 정도를 자체 폐기하거나 방폐장으로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전은 중간저장시설로 법적으로 시민에게 알릴 의무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정현(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 진상조사위원은 “정보를 공개했다는데 시민들은 정보 공개 사실은 물론 어떤 정보가 어디 있는지 잘 모르고 있다”며 “원연 기관이 정책적으로 시민에게 관련 정보 공개 사실 등을 알리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민 의원은 “전문가 토론과 실사 등 활동을 벌여 임시 저장돼 있는 원자력 폐기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과 스마트원전 입지 선정 의혹을 풀고 안전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