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실시되는 서울대학교 총장 선출에 서울대학교 대학생과 대학원생 일부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학생회 쪽에서는 학생도 교수·직원과 같은 비율로 선출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요구해 와 반발이 예상된다.
서울대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서울대 총장 선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 규정 및 시행세칙 개정안’을 논의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을 보면 그동안 교수와 교직원만 참여했던 정책평가단에 학생도 포함됐다. 전임교원은 전체인원 중 20%이내 범위에서 총추위가 추후 결정하기로 했고, 직원과 학생은 각각 정책평가단의 14%와 9.5%, 부설학교 교원은 총 4명이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학생과 부설학교 교원이 정책평가단에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이는 서울대 총학생회가 요구해온 ‘학생·교수·교직원이 1대1대1의 비율로 총장 선출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과는 거리가 멀다. 총학은 지난 14일 “학생들이 다른 구성원들과 동등하게 총장 선출 과정에 참여하지 못한다는 것은 비민주적”이라며 “극소수의 학생이 아닌 모든 구성원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민주적인 총장 선출 방식을 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책평가단은 교직원과 외부인사로 구성되는 총추위와 함께 총장 후보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기구다. 총추위와 정책평가단이 총장 후보자들의 점수를 매겨 최종 후보 세명을 뽑으면 이사회가 투표를 통해 총장을 선출한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