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낮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317차 수요시위에서 학생들이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화해치유재단 해산하라! 10억엔 반환하라! 굴욕적인 한일합의는 무효다!”
정부가 ‘한-일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12·28 합의)에 대해 ‘잘못된 합의지만 재협상은 없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10일 낮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317차 수요시위에서는 ”정부의 발표 내용이 소극적”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기 수요시위 26주년을 맞은 이날 시위에서 참가자들은 “정부는 즉각적인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10억엔 반환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공동대표는 “12·28 합의가 가야할 곳은 쓰레기통”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당당하게 일본 정부에 법적 책임을 추궁하고 공식 사죄와 책임자 처벌 등 ‘법적 책임 이행’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표는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을 국고로 편성하겠다는 정부의 발표에 대해 “희망을 봤다”면서도 “일본 정부의 자발적인 조치를 기대한다는 것은 소극적인 대응이다. 피해자들은 그럴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자유발언에 나선 대학생 단체 ‘평화나비 네트워크’의 김샘 활동가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묻지 않은 채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것만 하겠다는 것은 일본 정부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 것과 다르지 않다”면서 “우리는 피해자의 마음을 대변해서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당당하게 행동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수요시위에서 발표된 성명에서도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가 담겼다. 수요시위 참여 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가 늦게나마 피해자 중심 문제 해결을 원칙으로 정하고,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밝힌 것은 환영한다”면서도 “외교적인 문제를 이유로 일본 정부에 대한 법적 책임은 묻지 않은 채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조치 만을 취하겠다는 태도는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날 26주년을 맞은 수요시위에는 혹한의 칼바람 속에서도 100여명의 시민이 참가했다. 1992년 1월8일 시작된 수요시위는 26년 동안 일본 정부의 전쟁범죄 인정·공식 사죄·법적 배상 등을 요구해왔다. 2015년에는 단일 주제로 가장 오래 지속된 시위로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26주년을 맞아 발표된 성명에서 정대협은 수요시위가 “여성, 역사, 인권, 종교, 학생 등 각계각층 다양한 사람들이 어우러져 한목소리로 여성인권과 평화를 외치는 연대의 장, 살아있는 교육의 장이 되었다”고 밝혔다.
글·사진/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