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경향신문사 건물 15층에서 출범식을 열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
인분교수 사건·서울대 스캔노예 사건 등 끊이지 않고 계속되는 대학원 사회의 인권침해·노동력 착취문제에 대응하고자 설립된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대학원생노조)이 출범했다.
대학원생노조는 24일 오후 서울 중구 경향신문사 건물 15층에서 출범식을 열었다. 전국 33만 대학원생의 목소리를 대변해 모인 노조는 출범선언문에서 “대학들은 소위 고급인력을 양성한다는 허울을 쓴 채 수많은 대학원생들을 착취하고 있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대학원생 인권·노동권 문제는 스승이라는 미명하에 학생들을 괴롭히는 교수만이 문제가 아니다”면서 “문제가 불거지면 꼬리만 자를 뿐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대학, 구조적 개혁 없이 방관해 온 정부, 개인과 관행의 문제로 국한시켜 책임을 회피해 온 이들 모두가 공범”이라고 지적했다. 구슬아 대학원생노조 위원장은 “노조 출범은 더 이상 교수나 대학 본부의 시혜만을 기다리지 않고 직접 자기 삶의 조건을 구성해내겠다는 선언”이라고 덧붙였다.
대학원생노조는 대학원생의 인권침해와 노동력 착취문제는 구조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지난해 12월 모였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실이 지난해 펴낸 보도자료를 보면 대학원생 연구조교의 월 평균 임금은 55만4065원으로 최저임금에 한참 못 미친다. 뿐만 아니라 인분교수 사건과 서울대 스캔노예 사건 등에서 나타난 것처럼 정해진 근무시간 없이 수시로 호출을 당하고 각종 폭언과 성희롱에도 속수무책으로 노출되어 있다. 구 위원장은 “몇몇 선한 전임자의 존재로는 이같은 대학원생 처우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다”면서 “열악한 노동·연구환경과 부실한 장학제도 등의 문제는 일부 교수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대학의 행정시스템과 한국의 고등교육제도에 기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학원생노조는 지난해 12월23일 서울 지역 6개 대학의 조합원을 중심으로 설립총회를 열었다. 언론 보도가 거듭되면서 전국에서 조합원이 모여들고 있는 노조는 두 달께 만에 조합원 소속 대학이 20여개까지 늘어났다.
대학원생노조는 “앞으로 대학원생 인권침해와 저임금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향후 활동계획을 밝혔다. 강태경 대학원생노조 부위원장은 “대학원생들이 프로젝트 연구비를 랩실에 상납해야 했던 부조리와 조교 업무나 학회 간사 업무를 하는 대학원생들의 저임금 문제부터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현재 ‘성균관대 행정담당 교육조교 집단해고’ 사태에 대응하고 있고, 대학과 정부를 상대로 단체교섭도 준비할 예정이다. 노조 쪽은 “정부와의 단체교섭은 교육부와 노동부를 대상으로 할 예정이고, 대학과의 효과적인 단체교섭을 위해 더 많은 조합원을 모으는데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글·사진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