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밀양대책위가 ’한전 및 효성의 밀양송전탑 비리와 관련한 내부고발 기자회견’을 열었다.
밀양송전탑 건설공사 과정에서 한국전력(한전)이 허위자료를 제출해 공사를 강행하게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밀양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밀양대책위)’는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 ‘효성중공업 김민규 전 차장 내부고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효성중공업의 전직 직원인 김민규 전 차장이 참석해 한전과 효성에 대한 각종 의혹을 제기했다.
김 차장은 2014년 당시 밀양송전탑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40일간 운영된 ‘밀양송전탑 전문가협의체’에 한전이 허위 서류를 제출해 공사를 강행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신양산변전소에 ‘8000A급 3상일괄형 가스절연개폐기(GIS)’를 교체해 새 송전선을 건설하지 않고도 신양산변전소의 증설이 가능한가 여부였다. 가스절연개폐기는 변압기를 조정하는 장치로, 변압기가 자동차의 구동장치라면 가스절연개폐기는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해당한다. 당시 야당 추천위원들은 밀양송전선로를 건설하지 않고도 기존 고리단지에서 인출되는 3개의 선로로 신고리 3~4호기의 우회송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었다.
하지만 당시 한전은 효성의 확인공문을 증거로 부품 생산이 어렵다며 비용과 공사기간 등의 이유로 증설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냈었다. 이에 대해 효성중공업에서 변전소 기기 납품 업무를 담당했던 김 전 차장은 “‘8000A급 3상일괄형 가스절연개폐기’는 효성중공업에서 생산했고 직접 납품도 했었다”며 “출처를 알 수 없는 공문을 근거로 이미 버젓이 팔고 있는 상품이 상용화가 안됐다는 거짓말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차장은 “송전선 용량증설이 됐다면 송전선 철탑을 신설할 필요가 없었고 신고리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낼 수 있었다”며 “공정이 이미 70~80%가 진행됐기 때문에 한전이 대국민 사기극을 벌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효성이 인허가권을 쥔 한전 직원의 아들을 부정채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 전 차장은 2013년 당시 효성에서 한전을 상대했던 ㄱ팀장이 한전의 간부인 ㄴ씨의 아들을 부정 채용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처장은 “갑의 입장인 한전의 처장의 아들을 을의 입장인 효성에서 채용해 한전 담당 업무를 맡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밀양송전탑이 포함된 ‘신고리-북경남 765kV 송전선로’ 공사 과정에서 효성중공업이 하도급 업체가 전량 생산한 철탑 강관을 ‘사내 하도급’으로 위장해 500~600억의 부당 이득을 취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 날 기자회견장에는 밀양에서 상경한 주민 20여명도 함께 했다. 밀양 대책위의 이계삼 사무국장은 “철탑은 이미 들어섰고 이를 되돌릴 수 없다는 걸 알고 있다. 하지만 진실을 밝혀 우리가 헛된 투쟁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관련 진술과 증거자료를 첨부하여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할 예정이다.
글·사진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