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이 지난해 4월13일 경기도 성남시청에서 열린 세월호 2주기 특별강연을 마친 뒤 416합창단과 함께 ‘님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하고 있다.
시민사회의 원로인 백기완(86) 통일문제연구소 소장이 최근 심장 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데 이어 수술대에 올랐다.
통일문제연구소는 "백 소장이 23일 오전 7시 30분부터 서울 종로구 혜화동 서울대병원에서 종아리 혈관을 떼어내 심장에 연결해서 피를 통하게 하는 수술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백 소장은 평소 호흡기 질환으로 치료를 받던 중 가슴 답답함과 오한을 호소해 9일 오후 3시께 서울대병원에 입원했고, 검사 결과 심장혈관의 동맥이 막힌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은 일단 스텐트 시술을 통해 심장에 피가 통하도록 조치했으나 동맥경화가 심해져 급성 심근경색 등 위급한 상황에 이를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수술을 결정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평소 당뇨와 혈압, 폐 호흡기 질환 등 지병으로 치료 중인 상태여서 고령인 백 소장이 대수술을 견딜지 걱정이지만, 수술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수술은 9시간가량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932년 황해도에서 태어난 백 소장은 한국전쟁 때 큰형 등 가족과 헤어졌으며 1960년대 고(故) 장준하 선생과 함께 민주화 운동과 통일운동에 몸을 던졌다. 1974년 유신헌법 개헌의 필요성을 주장했다가 옥고를 치렀으며 1992년 대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의 노랫말이 된 시 '묏비나리'의 원작자이기도 하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