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는 16일 서울 대방동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여성폭력 방지를 위한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여성부가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제안을 듣기 위해 구성한 ‘성평등드리머' 일원인 20대 여성들이 참여해 정부 정책과 제도에 대한 의견을 내놓았다. 여성부 제공
“어릴 때 도둑 들면 112, 불나면 119로 전화하라고 배우잖아요. 성폭력 뿐 아니라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를 당하게 되면, 일단 친구에게 전화하게 됩니다. 여성긴급전화 1366(여성 폭력 피해자·가족 등을 위한 24시간 상담전화)이 있지만, 막상 피해가 닥치면 생각이 잘 안나요. 여성이 범죄를 당했을 때 직관적으로 신고할 수 있는 허브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강남역 살인사건 2주기를 하루 앞둔 16일, 20대 김혜린씨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등 정부·서울시 관계자들에게 전한 의견이다. 여성부는 이날 서울 대방동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방지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 참여한 20대 여성 5명은 지난 4월 여성부가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제안을 듣기 위해 구성한 ‘성평등 드리머' 일원이다. 이들은 자신과 주변 경험을 토대로 여성 폭력에 대한 소극적 경찰 수사 및 관대한 처벌 관행 등 정부가 바꿔나가야 할 부분에 대해 의견을 내놓았다.
수사·처벌 단계에 앞서, 피해자들을 돕는 지원체계에 대한 개선 요구가 나왔다. 여러 피해자 지원 기관들이 있지만 정작 필요한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성폭력 피해자들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곳은 여성긴급전화 1366, 해바라기센터(심리치료·의료·수사·법률 등 통합지원), 성폭력피해상담소 등이다. 심미섭씨는 “성폭력 피해자는 한 기관에 부탁해 거절당하면 더이상 도움을 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친구가 해바라기센터에 전화한 적이 있는데 ‘지금 문화예술계 미투에 집중하고 있어, 다른 쪽에 전화해보라’고 했다더라. (신고부터 수사과정에서) 피해자로선 거절 받는 경험 하나하나가 크다. 전화 받은 기관에서 끝까지 책임지라는 게 아니라, 피해자를 거절하지 않는 곳으로 연결해주는 인원이 확충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최근 홍대 누드모델 사건을 계기로 사회적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 불법촬영(몰카)에 대해 ‘언제 어디서나 겪을 수 있는 일상적 불안’이라며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모교에서도 몰카 사건이 있었다. 나같은 자취생들은 새로 이사가면 몰카가 있는지 없는지 그 집 스위치나 전구 등을 챙겨봐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런 걱정 안고 살아가는 건 큰 폭력이라고 생각한다. 오늘 지하철에서 ‘몰카는 신고가 예방’이라는 문구를 봤다. 몰카를 신고한다고 예방되는 건 아니잖나. 이러한 문구엔 ‘불안감’이 고려돼 있지 않다. 몰카 범죄에 경종 울리는 요소가 섬세하게 디자인이 돼야 할 거 같다.” (김미송)
“지난해 모교에서 조교를 했는데, 학생들이 동아리나 소모임 차원에서 몰카 방지 스티커를 구매하는 등 각자 범죄를 예방하고 있다는 걸 알았다, 지하철 화장실을 정기적으로 조사한다는 걸 알지만 여성의 삶은 공공기관에만 한정된 게 아니다. 몰카 신고를 간소화한다든가 하는 대책 방안이 논의됐으면 좋겠다.” (문예린)
여성폭력을 전할 때 자극적 이미지나 영상을 사용하는 언론보도도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유명인 자살을 전하는 기사에 상담전화 정보 등을 표기하는 것처럼 여성폭력 사건 보도 기사 끝에 지금 피해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기관의 정보를 넣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