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서비스지회 염호석 열사의 영결식이 전국민주노동자장으로 엄수된 2014년 6월30일 오전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본관 앞에서 만장을 든 노동자들이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조사를 듣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삼성전자서비스 노조원이었던 고 염호석씨의 장례식 당시 경찰 공권력 사용과 관련한 인권 침해 조사가 이뤄진다.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는 지난달 3일 ‘삼성전자서비스 노조원 고 염호석씨 장례식 관련 경찰의 공권력 남용 등 인권침해’ 사건의 조사를 개시할 것을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팀’(진상조사팀)에 권고했다. 진상조사위는 백남기 농민 사망, 용산 참사, 평택 쌍용자동차 파업, 밀양 송전탑 건설,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정연주 전 <한국방송> 사장 해임반대 집회 강제진압 등 지난 정부 시절 있었던 경찰 인권 침해 의심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출범했다. 경찰청은 진상조사위의 조사 권고를 받아들여 염씨의 장례식 당시 공권력 투입 사건을 조사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양산센터 분회장이었던 염씨는 2014년 5월17일 “더 이상 누구의 희생도 아픔도 보질 못하겠으며 조합원들의 힘든 모습도 보지 못하겠기에 절 바칩니다. 저 하나로 인해 지회의 승리를 기원합니다. 저의 시신을 찾게 되면 우리 지회가 승리할 때까지 안치해 주십시오. 저희가 승리하는 그 날 화장하여 이곳에 뿌려주세요”라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하지만 염씨의 아버지는 삼성 쪽에서 6억원을 받은 뒤 장례를 ‘노조장’이 아닌 ‘가족장’으로 치르겠다고 주장했고, 경찰은 염씨의 장례식에 참가한 노조원·조문객들을 진압하고 일부 체포했다. 특히 당시 경찰은 노조장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 염씨의 어머니를 막아서고 염씨의 주검을 장례식장에서 빼 오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삼성 쪽과의 유착이 의심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 때문에 진상조사위는 “당시 장례식장·화장장 등에 경찰력을 투입한 경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라는 판단을 내렸다.
진상조사위는 앞서 조사를 진행해 온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 평택 쌍용자동차 파업, 용산 참사 사건의 조사결과도 8월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