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요양서비스노동조합이 10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세종로소공원에서 전국요양노동자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이 보건복지부에 요구하는 6대 요구안이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민간 요양원 비리 전면 감사’를 요구하고 있는 요양서비스 노동자들이 “김장·강아지 목욕 등 불필요한 업무를 중단하고 일한 만큼 임금을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요양서비스노동조합(요양서비스노조)은 10일 오후 1시부터 서울 종로구 세종로소공원에서 전국요양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이날 오후 3시부터 광화문 일대에서 열리는 전국노동자대회의 사전 행사로 마련된 요양노동자대회에는 전국에서 온 500여명(주최 쪽 추산, 경찰 추산 500명)의 요양서비스 노동자들이 모였다. 이들은 “표준임금지급 보건복지부가 책임져라”, “처우개선비 원상회복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요양서비스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서 첫 번째 발언자로 나선 10년차 재가요양보호사 서계순씨는 “요양서비스 노동자들은 현재 대상자 어르신의 케어뿐만 아니라 해당 가정의 집안일까지 떠안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씨는 “김장철에는 대상자와 따로 살고 있는 아들 딸 김장까지 해야 하고, 방충망을 뜯어서 씻거나 강아지 똥치우고 목욕시키기, 대상자 자녀의 방청소까지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요양보호사들을 관리하는 센터의 센터장이 대상자 가족들에게 이같은 일을 시키면 안된다고 말해주지 않고, 오히려 요양보호사들에게 ‘보호자들의 집안일을 도와주라’고 한다"며 “일감이 끊길 것을 걱정하는 요양보호사들은 어쩔 수 없이 집안일도 떠맡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국요양서비스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민간 노인요양시설 비리 전면감사와 요양노동자 6대 요구 실현을 위한 요양노동자 삭발, 천막농성 돌입 선포식'을 하고 있다. 전국요양서비스노동조합은 민간 노인요양시설 비리 전면 감사와 쉬운 폐업방지대책, 요양서비스노동자의 표준임금 지급, 공립 요양시설 확대, 관리 감독 대책 등을 요구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요양서비스노조가 지난달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농성을 시작하며 제기했던 표준임금 관련 문제(관련기사:
운영비로 술·골프…사립유치원 뺨친 ‘민간 요양원 비리’)도 이날 집회에서 다시 한 번 나왔다. 부산에서 올라온 요양보호사 신정희씨는 “올해는 최저임금이 크게 오른 해이지만 요양보호사들은 체불임금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근로계약서 상 노동시간은 195시간이지만 실제로는 한 달에 240시간씩 요양원에서 일을 한다”고 했다. 하지만 “야간근무 15시간 중 7시간이 휴게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어 그만큼 임금을 못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3년간 일을 하고도 돈을 못 받은 요양보호사 30명의 임금을 합친 금액이 5억4천만원에 달해서 부산지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해 다투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서씨도 “10년 동안 요양보호사로 일했지만 4대보험 제대로 가입된 기간은 5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요양서비스노조는 “요양보호사에게 돌아가야 할 돈이 민간 노인요양시설 대표의 쌈짓돈처럼 쓰이고 있다”며 “민간 요양원의 비리를 전면 감사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노조는 지난달 22일 농성을 시작하며 열었던 기자회견에서 “보건복지부가 제시하고 있는 표준임금보다 대부분의 요양보호사가 30만~40만원까지 덜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요양보호사 노동자들에게 돌아가야 할 이런 돈들이 어디로 갔겠느냐”며 “민간 요양원의 회계감사 결과를 보면, 고급 승용차 리스, 나이트클럽 유흥비, 골프장, 개인 여행, 성형외과 진료 등 상상할 수 없는 내용으로 차 있다”고 폭로했다.
최민영 오연서 기자
mymy@hani.co.kr